지난 27일 방문한 경기도 수원 선경도서관 중앙엔 이같이 쓰인 표지석이 이용객들을 맞이했다. 이 표지석의 주인공은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이다. 그는 형 최종건 창업회장을 기리기 위해 선경도서관을 설립하며 이런 메시지를 남겼다.
최종건 창업회장은 수원시에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 수원시 평동에서 태어나 수원에서 사업을 시작한 그에게 수원은 일생을 함께한 동반자였다.
최종현 선대회장은 '인재 육성'이라는 형의 유지를 이어 SK의 뿌리인 수원에 선경도서관을 세웠다. 당시 도서관 건립에 투자한 규모는 250억원에 달한다. 이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배였던 '시와이즈 자이언트'를 인수할 수 있는 거금이었다.
SK그룹 차원에서도 도서관 건립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989년 부지를 매입해 수원시에 기증하고 1995년엔 건물까지 기부했다. 도서구입비로 약 8억원을 들여 5만2127권도 함께 전달했다. 타 도서관의 4대 수준이다.
시설도 전국 도서관 중 최고 수준을 자랑했다. 선경도서관은 SK그룹에서 개발한 전산화 시스템을 도입해 전국에서 가장 먼저 전산화 작업을 마쳤다. 책 대출과 반납에는 터치스크린과 바코드 시스템이 도입돼 '첨단 도서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선경도서관 개관 당시 사서로 근무한 노영숙 전 관장은 "수원 시민들의 문화 수준을 20년은 앞당겨줄 최첨단 도서관이었다"며 선경도서관 20년사를 통해 당시를 회고했다.
고씨는 "선경도서관은 제게 키다리 아저씨이자 친정집 같은 존재"라며 "작은 아이 이름을 '선경'으로 지었고 지금은 SK에서 일하고 있을 만큼 이곳에 고마운 마음이 크다"고 말했다.
선경도서관 건립은 최종건·최종현 형제가 강조해온 인재 중시 철학의 연장선이었다. 최종건 창업회장은 전력조차 부족했던 1950년대에도 공장 불을 밝히고 직원들에게 밤늦도록 글을 가르쳤다. 최종현 선대회장은 "첫째도 인간, 둘째도 인간"을 강조하며 사람을 기업 경영의 중심에 두었다. 그는 인재보국의 신념 아래 미래 세대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이 재단은 지난 50년간 4000명 넘는 장학생과 세계적 학자를 배출했다. 그의 철학은 오늘날에도 이어져 최태원 회장은 2018년 '최종현학술원'을 세우고 사재를 출연해 국가 인재 육성에 나서고 있다.
김명수 수원시 도서관 사업소장은 "최근 선경도서관은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SK그룹의 후원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번 행사가 지난 30년을 돌아보고 새로운 30년을 함께 그려가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