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9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지수는 114.4로 전월대비 0.3% 증가했다.
생산은 광공업(0.3%), 서비스업(0.2%), 공공행정(2.8%) 등 부문에서 모두 늘어난 반면 건설업(-1.0%)은 감소했다. 생산은 6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 생산은 자동차(-7.3%)와 반도체(-3.6%) 등에서 줄었다. 자동차 생산 감소는 미국 품목별 관세 시행 영향이 일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전자부품(20.9%), 기계장비(6.5%) 등에서 생산이 증가하며 전체 증가를 이끌었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3.3%), 정보통신(3.1%), 협회·수리·개인(8.4%) 업종에서 늘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104.5(2020=100)로 전월보다 2.5% 늘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소비판매의 증가폭은 2023년 2월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크다.
품목별로는 통신기기·컴퓨터, 승용차 등 내구재(5.4%), 의복 등 준내구재(2.7%), 화장품·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1%) 모두 고르게 증가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2차 추가경정예산안에 포함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나 으뜸효율가전 환급 사업 영향으로 내구재·비내구재·준내구재 모두 상승했다"며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7월말 지급됐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효과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설비투자(계절조정)는 115.7(2020=100)로 전월 대비 7.9% 증가하면서 지난 2월(21.3%)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크게 증가했다. 운송장비(18.1%), 기계류(3.7%)에서 투자가 모두 늘어난 영향이다.
건설기성(불변)은 토목에서 10.1% 증가했지만, 건축에서 4.8% 감소해 전월보다 1.0% 줄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5로 0.5포인트 상승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