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익스프레스는 한국수입협회(KOIMA)와 협력해 매월 주요 판매 품목에 대한 KC 안전 기준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있다고 1일 밝혔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KATRI 등 국내 주요 시험검사기관 5곳에서 체계적인 안전성 검사를 진행한다.
이 같은 변화는 소비자들의 구매 기준이 '가격'에서 '신뢰'로 이동하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최근 해외직구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 "싸도 불안한 제품은 사지 않는다", "KC 인증 확인은 필수" 같은 글이 자주 올라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서울 성북구에 사는 주부 이모 씨(42)는 "아이 장난감을 해외직구로 샀다가 유해물질 검출 뉴스를 보고 불안했다"며 "이제는 KC 인증 마크가 있는지 꼭 확인한다"고 말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가격 경쟁력만으로도 충분했지만 이제는 안전성과 신뢰성 없이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며 "특히 아동용품이나 화장품 등 안전이 중요한 카테고리에서 이런 경향이 뚜렷하다"고 설명했다.
한국수입협회 관계자는 "해외 플랫폼이 국내 안전 기준을 자발적으로 도입한 것은 이례적"이라며 "월별 정기 검사를 통해 문제 제품을 사전에 차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케이베뉴는 판매 제품 중 KC 인증이 필요한 품목에 대해서는 인증 여부를 명시하고, 미인증 제품의 경우 구매 전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 또한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판매 중단과 전액 환불 조치를 시행한다.
━
"한국 기준에 맞춘다"...현지화 넘어 '한국화' 전략 ━
케이베뉴의 현지화를 위해 24시간 한국어 고객센터 운영, 원화 결제 시스템, 3일 내 무료 배송 등 서비스 전반에 걸쳐 '한국형 쇼핑 경험'을 구현했다. 국내 중소기업과의 협력도 확대했다. 한국 셀러 전용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수수료 감면 혜택을 제공하며 국내 브랜드의 판로 확대를 지원한다. 현재 1만여개 국내 업체가 입점해 있다.
정부도 해외직구 안전성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확대하고, 위해 제품 차단 시스템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한국온라인쇼핑협회 관계자는 "알리익스프레스의 선제적 대응이 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다른 해외 플랫폼들도 유사한 안전 검증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자율 규제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플랫폼의 자발적 노력은 긍정적이지만 법적 구속력이 없어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며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 감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