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조사를 받는 MBK에 기관경고 이상의 중징계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보면 되느냐는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결과를 아직 본 게 아니다"라고 답하면서도 사안의 엄중함을 인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앞서 이 후보자는 지난달 31일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 서면질의 답변에서도 MBK가 일으킨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최근 제기된 사안에서 나타난 PEF(사모펀드) 일부 행태는 시장과 국민의 눈높이에 부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했다.
금융위 하위기관이자 감독기관인 금감원은 최근 이찬진 원장 취임 이후 MBK에 대한 행정제재 절차를 본격화했다.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 이후 최종 의사결정은 금융위 몫이다. 제재 수위는 기관주의, 기관경고, 영업정지, 등록취소 순이다. 기관경고 이상의 중징계를 받으면 국민연금을 포함한 투자자들은 MBK에 대해 위탁운용사 선정 취소나 선정 절차 중단을 할 수 있다.
금감원은 사모펀드 운용책임자로서 MBK의 불건전영업행위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난달 말 MBK에 검사의견서도 보냈다. 검사의견서는 MBK가 홈플러스 인수 과정에서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양도하면서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에 막대한 손해를 끼친 점을 지적하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감독기관인 금감원이 의지를 보이고 제재 수위를 최종 결정하는 금융위 수장 후보자도 심각성에 대해 인지하면서 시장 안팎에서는 MBK의 중징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날 인사청문회에선 MBK에 대한 강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국회의원들 사이에서도 이어졌다.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전임 금융위원장이 검찰 수사 핑계를 대며 MBK를 제재하지 않아 홈플러스 줄폐업 사태가 현실화한 것"이라며 "금융당국이 MBK를 똑바로 제재하지 못해 (MBK가) 오만방자한 행태를 보이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자를 향해 "위원장에 취임하시면 철저히 제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현정 민주당 의원은 "MBK는 홈플러스 회생절차를 신청하기 직전 채권을 발행하는 등 사기 채권 발행으로 고발됐다"며 "RCPS 상환권 조건이 홈플러스 측에 유리하게 변경되면서 국민연금에 막대한 손해를 끼쳤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 후보자에게 거듭해서 MBK에 대해 기관경고 이상의 제재를 고려하고 있냐고 물으면서 MBK에 강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피력했다.
한편 국민연금은 2015년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총 6121억원을 투자했다. 이중 리파이낸싱과 배당금 수령으로 약 3131억원을 회수했으나 MBK의 홈플러스 '기습' 기업회생절차 신청으로 나머지 약 3000억원은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