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수원시 '인권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권침해·차별을 당한 이유로 가장 많은 53.7% 가 '나이'를 꼽았다. 이어 '직업이나 소득 등'(46.9%), '비정규직'(46.5%), '학력·학벌'(45.5%), '성별'(40.9%) 등 이유로 차별은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7월21일부터 지난달 4일까지 시민 508명(온라인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
인권침해를 경험했을 때 대응은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는 응답자가 40.5%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변 사람에게 도움 요청'했다는 응답자는 33.5% 수준이었다. 가해자에게 직접 시정 요구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20.5%에 불과했다.
시의 인권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했다. '수원시 인권 정책이 시민 인권 증진에 기여한다'는 항목에 대해서는 응답자 40.6%가 긍정했고, 부정은 8.9%에 그쳤다. '수원시가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는 항목에 대한 답변에는 긍정 40.9%, 부정 12.6%로 나타났다.
수원시 인권 정책에서 성과가 있는 분야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아동·청소년 정책'(18.9%)과 '노인 정책'(18.5%)을 꼽았다. 반면, '여성 정책'(5.9%), '장애인 정책'(6.1%)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시 인권센터 인지율은 38% 수준이었고, 응답자 68%는 인권센터의 역할을 더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84.3%는 인권침해나 차별을 당했을 때 '인권센터를 이용하겠다'고 답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로 나이·성별 등 일상적 차별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인권침해 대응 체계를 강화해 차별 없는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