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9·7부동산 대책'의 전산 반영을 위해 비대면 대출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시중은행에 대출상담 창구 앞을 시민이 지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은행권이 '9·7부동산 대책' 발표에 따라 전산 시스템 작업에 돌입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신청을 중단했고 달라진 시행세칙을 반영한 비대면 대출 판매 재개 일정을 검토하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이날 오전부터 비대면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 취급을 중단했다. 하나은행도 이날부터 비대면 주담대 신청을 받지 않는다. 비대면 주담대 이외의 다른 상품은 정상 판매 중이다.


신한은행은 "부동산 대출 규제의 전산 반영을 위한 것"이라며 "대면 영업은 정상 진행한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 NH농협은행은 비대면 채널에서 주담대 신청을 받고 있다. 이달 초 우리은행은 전세대출 상품인 '우리전세론'의 판매를 중단해 접수가 막혔다.

은행권이 서둘러 비대면 대출 접수를 중단한 것은 9·7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전산에 반영하기 위해서다. 금융위원회는 전날 관계 부처 합동 '주택공급 확대 방안' 일환으로 긴급 가계부채 점검 회의를 열고 추가 대출 규제를 발표했다.


우선 규제 지역(강남 3구·용산구)의 가계대출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상한을 현행 50%에서 40%로 낮춘다. 지난 6·27 부동산 대출 규제로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일괄 제한한 데 이어 추가로 강화한 조치다.

현재 보증 3사(SGI서울보증, 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별로 상이하게 운영 중이던 1주택자 전세대출한도를 2억원으로 일괄 하향 조정한다. 또 수도권 및 규제 지역 내 주택을 담보로 하는 주택매매 및 임대사업자 대출도 제한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수도권·규제지역 내 증액없는 주담대 대환대출은 다시 풀기로 했다. '6·27 부동산 대출 규제'에 따라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담대는 1억원으로 제한했으나 증액없는 주담대는 대환대출을 받을 수 있다.

은행 관계자는 "6·27 대책 당시와 비교하면 비대면 대출 중단 기간이 길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은행마다 비대면 대출 신청을 받은 후에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등 전산작업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달라진 대출규제가 적용되는지 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