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차남인 에릭 트럼프 트럼프오거니제이션 부사장이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에서 열린 두나무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UDC 2025)'에서 화상 화면으로 등장했다. /사진=양진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차남이자 트럼프오거니제이션 부사장인 에릭 트럼프가 스테이블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한국의 가능성을 높게 봤다. 스테이블코인이 새로운 트렌드로 올라서는 가운데 관련 대응이 빠른 국가가 해당 이익을 선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부사장은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에서 열린 두나무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UDC 2025)'에서 화상으로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세대 최고의 자산이었다면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결제의 레일(철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부사장은 전통 금융의 한계를 뛰어넘을 스테이블코인을 선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정부와 금융 당국이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을 제도권으로 수용하는 국가가 디지털 자산 경쟁에서 승리한다"고 말했다.

스테이블코인의 신속한 결제 역량을 전통 금융이 따라갈 수 없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부사장은 "2억달러 규모의 자금이 몇 초 만에 이동했고 수수료는 60센트에 불과했다"며 "전통 은행을 거쳤다면 수주일이 걸리고 3%의 수수료를 내야 했을 것"이라고 했다.

스테이블코인은 국경과 시간을 넘나들며 거래가 항상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글로벌 원자재 거래나 기업 간 자금 결제에서도 새로운 표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부사장은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한국은 아시아에서 디지털 자산을 가장 앞서 수용하는 나라"라며 "미국이 세계의 수도라면 한국은 아시아의 수도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가상자산 선도 국가로서의 역량은 갖춘 만큼 정부의 대응이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부사장은 "정부와 금융 당국이 '예스'라고 답할 수 있느냐가 승패를 가른다"며 "유럽은 규제와 에너지 정책으로 뒤처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반면 한국과 중동은 가상자산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빠르게 움직이는 나라만이 새로운 금융 질서에서 이익을 가져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트럼프 일가의 한국 사랑도 언급했다. 트럼프 부사장은 "20년 전 '트럼프월드' 빌딩을 세웠지만 곧 한국에서 다시 우리 이름을 보게 될 것"이라며 "부동산과 디지털 자산 모두에서 기회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