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에서 일어난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가 일어나자 미국에 진출한 외국 기업들이 미국 출장을 중단하거나 법률 자문에 들어갔다. 사진은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이 한국인 직원 300여명을 기습 단속·구금한 모습. /사진=뉴스1(ICE 홈페이지)
미국 조지아주에서 일어난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가 일어나자 미국에 진출한 외국 기업들도 불안함을 호소했다.

9일(이하 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지난 4일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 후 미국에 외국인 직원을 둔 다국적 기업들이 출장 중단과 법률 자문을 진행했다.


매슈 던 글로벌 로펌 HSF 크레이머 미국 비즈니스 이민 부문 책임자는 "자신들도 위험에 노출됐는지 묻는 고객들 메일이 쏟아지고 있다"며 "본사 차원에서 우려해야 하는지, 미국 주재원이 위험에 처한 건 아닌지, 취업비자로 일하는 외국인 직원이 정부 단속 대상이 되는 건 아닌지 묻는다"라고 말했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회사인 HL-GA 배터리컴퍼니 공장 건설 현장에서 기습 이민 단속을 벌여 475명을 체포했다. 단일 현장에서 진행한 것 중 사상 최대 규모 작전이다. 체포된 이들 중 300여명이 한국인이다. 체포된 이들 대부분은 단기 상용비자(B-1)나 비자 면제 프로그램 일종인 전자여행허가(ESTA)를 소지하고 있었다.

찰스 쿡 쿡 백스터 이민 전문 로펌 창립자는 "기업 고객 2곳에서 연락이 왔다. 미국에 대규모 시설을 보유한 외국인 투자자들"이라며 "ICE 기습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묻더라"라고 밝혔다.


글로벌 정책 자문사 DGA 그룹 무역 컨설턴트인 타미 오버비 전 주한미국상공회의소장은 "한국인 노동자 수백명이 범죄자처럼 보여진 게 너무나 충격적"이라며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타이완 등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하는 다른 무역 파트너들도 (체포) 영상과 사진을 봤다"고 말했다.

오버비 전 소장은 비즈니스 방문 비자 관련 대대적 단속에 휩쓸릴 위험이 가장 큰 업종은 본국 인재를 데려와야 하는 산업이라고 우려했다. 오버비 전 소장은 배터리 제조, 조선, 반도체처럼 아시아에 비해 미국 노동자들의 기술적 전문성이 부족한 분야는 이런 인재가 특히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