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한국문구인연합회 등 문구 3단체는 11일 오전 10시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기업 유통 채널이 문구류를 미끼 상품으로 취급해 영세 소상공인에게 감당 불가능한 가격 경쟁을 유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대기업의 초저가 전략이 학교와 학원가 인근 전통 문구점의 매출 기반을 무너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주문 물량이 줄고 서비스 품질까지 저하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문구업계에 따르면 2018년 1만여곳에 달했던 전국 문구 소매점은 올해 4000곳 이하로 줄어 60% 이상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문구업계는 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책으로 ▲대형 유통사의 문구용품 취급에 대한 합리적 제한 ▲서적과 형평성 차원의 문구용품 부가가치세 면제 ▲전통 문구점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키오스크(무인결제기) 시스템' 도입 지원 등을 제시했다.
이동재 한국문구인연합회 회장은 "문구업은 서적과 마찬가지로 미래 세대의 교육과 창의성을 뒷받침하는 기반 산업"이라며 "정부가 이번 기회에 정책을 마련하고 지원한다면 국민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