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크리스토퍼 랜도 미국 국무부 부장관과 한미 외교차관회담을 14일 가졌다. 사진은 박윤주 외교부 제1차관(오른쪽)과 크리스토퍼 랜도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14일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외교차관 회담에 앞서 악수하는 모습. /사진=뉴스1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은 14일 크리스토퍼 랜도 미국 국무부 부장관과의 한미 외교차관회담에서 ▲조지아주 우리 국민 구금 문제 해결 및 비자 제도 개선 협력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 ▲지역 및 글로벌 정세에 대해 협의했다고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박 차관은 회담 서두에 우리 기업 근로자들이 부당하게 미국 내 구금시설에서 감내해야 했던 불편한 처우에 대해 언급했다. 해당 근로자들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들이 이번 사태로 인해 깊은 충격을 받았던 것에 유감을 표했다.


박 차관은 미국 측이 우리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재발 방지 및 제도개선 조처를 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요청하면서도 이번 구금 사태의 초동 대응 직후 이뤄진 랜도 부장관의 방한은 후속 조치를 위한 논의뿐 아니라 한미관계의 굳건함을 보여주는 시의적절한 방문이라고 평가했다.

박 차관은 "이번 구금 사태 해결 과정에서 한미 양 정상 간 형성된 유대관계와 양국의 호혜적 협력의 정신이 작용했다"며 "귀국자의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어야 할 것이며, 한국 맞춤형 비자 카테고리 신설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 논의를 위한 외교·국무부 간 워킹그룹 창설과 비자 관련 상담창구 개설 등 후속 조치 이행에 박차를 가하자"라고 했다.

랜도 부장관은 이번 사태가 일어나게 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이번 사태를 제도 개선 및 한미관계 강화를 위한 전기로 활용해 나가자"고 했다. 이어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이 문제에 높은 관심을 가진 만큼 귀국자들이 미국에 재입국 시 어떠한 불이익도 없을 것이며 향후 어떠한 유사 사태도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활동이 미 경제·제조업 부흥에 대한 기여가 크다는 점을 절감하고 있는 만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한국 근로자들의 기여에 합당한 비자가 발급될 수 있도록 후속 조치 관련 실무협의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자"고 했다.
한·미 양 차관, 외교 일정과 더불어 한반도 안보 정세 다뤄
양 차관은 9월 유엔총회, 다음 달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등 다양한 국제행사 계기 한미 고위급 외교 일정에 관해서도 논의했다. 여러 계기를 활용해 지난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조선·원자력·첨단기술 등 미래지향적 분야에서 더욱 진전된 협력 성과를 도출함으로써 양국 국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실질적 혜택을 창출해 나가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이날 회담에선 한반도 및 역내 경제·안보 정세도 의제로 다뤘다. 박 차관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감한 바와 같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미국 측이 피스메이커, 한국이 페이스메이커로서 각자의 역할을 다해 나가자"고 말했다.

이에 랜도 부장관은 "한국의 대북정책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면서 "향후 대북정책 관련 긴밀한 공조를 지속해 나가자"고 말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이날 한미 외교차관회담에 앞서 랜도 부장관을 접견했다. 조 장관은 이번 구금 사태가 한미 모두에게 윈윈으로 귀결될 수 있도록 랜도 부장관이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 계기 양 정상 간 합의사항이 신속하고 충실하게 구체적 조치로 이행될 수 있도록 랜도 부장관이 직접 챙겨봐 달라고 독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