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전씨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오늘 다시 또 구글코리아로부터 수익 창출이 중단됐다는 메일을 받았다"며 "언론 탄압이자 보수 우파를 죽이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전씨는 "민감한 사건 때문에 수익 창출을 중단한다고 했다"며 "헌법에 보장된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 통해 진실을 전했는데 민감한 사건을 누가 판단하느냐. 구글코리아 안에 있는 좌파 직원들이 판단하는 거냐"고 분노했다. 이어 "전한길은 불법행위를 하거나 허위 사실을 유포한 적도 없다"며 "다만 이재명과 위성락, 조은석과 이런 인간들이 행하는 짓에 대해 실체 알렸을 뿐이고 진실 알렸을 뿐"이라고 항변했다.
구글코리아는 전씨의 채널을 '민감한 콘텐츠' 정책 위반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유튜브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보면 민감한 사건으로부터 이익을 얻거나 이를 악용하는 콘텐츠의 경우 수익을 창출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유튜브가 예로 들고 있는 민감한 사건은 저속한 표현, 아동 보호 위반, 폭력적인 이미지나 섬네일, 분쟁 또는 대규모 폭력행위 등이다.
다만 유튜브 채널을 통한 수익이 막혔더라도 자율 후원을 통한 수익 창출은 여전히 가능하다. 전씨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계좌 번호를 공개적으로 기입하고 '자율 구독료' 명목으로 후원받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