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12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으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정부의 국정과제인 금융당국 조직개편에 계획을 따라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전날 이억원 금융위원장에 이어 이 원장이 조직개편안을 수용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조직개편 작업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금감원에 따르면 이 원장은 이날 오전 금감원 임원회의에서 "금융감독체계 개편은 새 정부 출범 이후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수개월 논의와 당·정·대 협의를 거쳐 공식적인 정부 조직개편안으로 최종 확정된 사안"이라고 밝혔다.


전날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취임식 현장에서 "공직자로서 국가적으로 최종 결정이 내려지면 그 정해진 결정에 따라야 하는 것도 우리의 책무이자 의무인 것도 엄중한 사실"이라고 밝혔다.

금융감독 수장이 정부·여당의 금융감독체계 개편안에 동의하면서 조직개편에 속도가 날 것으로 보인다. 전날 더불어민주당은 김병기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금융위 설치법 개정안 등을 발의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이세훈 수석부원장을 중심으로 입법 지원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라고 지시했다. 여당이 낸 법 개정안 등에 금감원 차원에서 필요한 의견을 내는 등 법 개정안에 참여하기 위한 조치다.


이 원장은 임직원들이 본연의 업무에 소홀하지 않도록 이끌어달라고도 당부했다. 이 원장은 "직원들 내부에서 여러 가지 움직임이 있으니 업무에 소홀하지 않도록 임원들을 중심으로 일을 단단히 처리하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장이 공식적으로 감독체계 개편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노조와 갈등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금감원 직원들은 금융감독체계 개편을 반대하며 엿새째 금감원 로비에서 출근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오는 18일에는 국회 앞 장외투쟁도 예정됐다.

한편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금융감독위원회 설치를 위한 법과 각 업권법 일부개정법률안 10개를 당론 발의했다. 개정안은 금감위 위원을 기존 9명에서 10명으로 늘리는 대신 금감원 부원장은 4명에서 3명, 부원장보는 9명에서 8명으로 줄이는 내용이 담겨 있다. 임원이 2명 줄어드는 셈이다. 금융소비자보호원은 원장 1명, 부원장 1명, 부원장보 3명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