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레이드의 9월 일평균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줄었다. /사진=뉴스1
코스피 지수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고공 행진하는 반면 대체거래소(ATS) 넥스트레이드는 거래량이 줄어드는 모양새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넥스트레이드의 9월(1∼15일 기준) 일평균 거래대금은 6조7614억원으로 전월 대비 6.6% 감소했다. 일평균 거래량 역시 1억7170만주로 지난 8월(1억8125만주)보다 5.3%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국내 증시 전체 일평균 거래대금은 22조6656억원에서 24조3675억원으로 7.5% 증가했다. 일평균 거래량도 13억3052만주에서 15억9609만주로 20.0% 급증했다.

시장 전반에 걸쳐 거래대금과 거래량이 크게 늘었지만 넥스트레이드는 홀로 거래량이 줄었다. 거래량이 급감한 이유는 최근 넥스트레이드 일부 종목 거래 중단 조치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자본시장법 시행령 상 넥스트레이드의 최근 6개월 일평균 거래량은 한국거래소(KRX) 일평균 거래량의 15%를 넘으면 안 된다. 그러나 최근 넥스트레이드가 급성장세를 보이며 거래량이 초과할 우려가 나오자 넥스트레이드는 일부 종목의 거래를 한시적 중단했다.


지난달 20일 넥스트레이드는 1차로 26개 거래를 중단한 데 이어 이달 1일 53개 종목을 추가로 거래 중지했다. 그 결과 넥스트레이드에서 거래가 중지된 종목의 매매가 한국거래소로 쏠렸고 넥스트레이드는 거래대금과 거래량이 동반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넥스트레이드는 현재 거래가 중지된 79개 종목은 유지한 채 10월 내 거래 중지 종목을 추가할 계획이다. 이달 실적은 넥스트레이드 주식 거래량이 미미했던 출범 첫달(3월) 거래실적이 포함되지만 내달부터는 그렇지 않기에 한도 관리를 더 철저히 할 수밖에 없다는 이유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3일 넥스트레이드의 거래량 제한과 관련해 시장 전체 한도(한국거래소의 15%)는 유지하되 종목별 한도(한국거래소의 30%)의 경우 최장 1년간 관련 규제를 유예한 채 추가적인 한도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융위 측은 "정규 거래소와 공정한 경쟁, 가격 대표성 유지라는 제도 도입 취지를 살리기 위해 현행 한도 규제의 적절성을 재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