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 조지아주에서 불법체류 혐의로 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에 대해 미국 재입국 불이익이 남지 않도록 조치했다고 전했다. 사진은 16일 오후 2시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이 발언하는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 조지아주에서 불법체류 혐의로 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에 대해 "미국 재입국 불이익이 남지 않도록 조치했다"며 "대미 투자 인력 비자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사태를 계기로 한미 간 해묵은 비자 협상도 진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16일 오후 2시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조지아 사태 피해 근로자들이 불이익을 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는 이인영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 구로구갑)의 질의에 "전혀 기록이 안 남도록 상호 합의를 봤다"며 체포·구금 과정에서의 인권 피해를 파악하기 위한 전수조사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조지아 사태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오래 묵혀둔 비자 문제를 미 측이 적극 해결에 나섰고 우리도 강하게 압박했기 때문에 잘 해결할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지난 4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이 열린 지 10여일 만에 미국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에서 일하던 한국인 근로자 316명이 불법체류 혐의로 체포·구금됐다. 이민 당국의 단속으로 구금됐던 이들은 최근 전원 귀국했지만 국민의힘은 이번 사태를 '외교 참사'로 규정하며 이재명 정부의 외교 정책 전반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여왔다.

이날 대정부질문에서는 비자 협정이 해묵은 문제인데도 한미 정상회담 당시 비자 문제가 논의되지 않은 것은 무책임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올 상반기부터 미국 비자 문제와 입국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정부 측에 꾸준히 알리며 지원을 요청해왔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외교 당국이 사전에 문제를 인지하고도 소극적으로 대응한 결과 한국인 근로자 대규모 구금 사태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에 조 장관은 미 정부와 의회를 접촉해 한국인 전문직 비자 쿼터 신설을 담은 '한국인동반자법' 통과를 요청했다고 전하며 "마크 루비오 국무장관과 한국인동반자법 관련 의원들을 면담해 당부했다"면서 미 외교 담당 크리스토퍼 랜도 국무부 부장관이 사과하고 비자 문제 해법 모색을 약속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