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오후 정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12·3 비상계엄 때 빠르고 명확한 반대 목소리를 못 냈고 (서울)서부지법 폭동 때 강력한 메시지도 못 냈던 조 대법원장. 본인 의혹에는 참 빠른 입장 표명(을 한다)"며 "이러니 사법부 수장으로서 자격 미달이다. 그냥 조희대 변호사로 사시길 바란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후 같은 날 두 번째 글을 게재하고 "사법 불신을 자초했던 그가 사법개혁 반대 목소리는 우렁차다"며 "본인 의혹에는 빛의 속도로 반응한다. 사법부 수장의 위엄은 없고 초라한 개인 조희대의 위험만 남았다"고 비판했다. 정 대표는 약 10분 뒤 세 번째 글을 올려 "의혹 제기는 눈덩이처럼 불어났고 본인은 부인하고 있다"며 "그렇다면 특검 수사로 진실을 밝히는 수밖에 없다. 떳떳하면 수사받으라"고 요청했다.
끝으로 네 번째 글에서 정 대표는 "조 대법원장의 이례적인 대선 후보 선거법 (유죄 취지) 파기환송. 그에 따른 대선 개입 의혹의 진상은 규명돼야 한다"며 "절대 그냥 못 넘어간다. 사법개혁의 불이 댕겨졌다. 쇠뿔도 단김에 빼자"고 강조했다.
조 대법원장은 이날 오후 5시20분쯤 "최근 정치권 등에서 한 전 총리 등과 만나 대통령 공직선거법 사건 처리에 대해 논의했다는 취지의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며 "그러나 위 형사 사건과 관련해 한 전 총리와는 물론이고 외부의 누구와도 논의한 바가 전혀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