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김장겸 의원실(국민의힘·비례)에 따르면 카카오는 업주에게 카카오맵 리뷰 관리 권한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해 시행에 나선다.
가장 큰 변화는 '후기 미제공 상태' 해제 방식이다. 지금까지는 리뷰 테러로 인해 후기를 잠시 차단했다가 다시 공개하면 기존 댓글이 그대로 노출됐지만 앞으로는 업주가 과거 리뷰를 다시 공개할지 여부를 직접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카카오는 리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인증 체계도 강화한다. 리뷰에 사진을 첨부하면 현장 촬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값 인증 표시가 달리고 카카오 링크 예약을 통한 결제 후 작성된 리뷰에는 '결제 인증' 마크가 붙는다. 이렇게 실제 방문이 인증된 이용자의 리뷰는 상단에 우선 노출되도록 할 계획이다.
카카오맵은 네이버 지도와 달리 누구나 자유롭게 리뷰를 남길 수 있어 '광고가 아닌 진짜 리뷰를 볼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사건·사고 발생 시 특정 업주가 집단적인 별점 테러에 노출되는 부작용이 잦았다.
실제로 지난해 말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집회 당시 선결제를 받았던 일부 매장이 카카오맵에서 무차별 별점 테러를 당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들 매장 카카오맵 리뷰에는 1점대 별점과 함께 허위 사실을 바탕으로 한 비방 댓글이 달리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카카오는 그동안에도 ▲장소와 무관한 후기가 반복될 경우 자동 차단하는 '장소 세이프 모드' ▲매장주가 직접 후기를 숨길 수 있는 '후기 미제공 설정' 등을 운영해왔다. 또 계정당 동일 장소에 1개의 리뷰만 작성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장소와 무관한 이야기나 추측성 내용은 사전 고지 없이 삭제할 수 있도록 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앞으로도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을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