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청사 전경. /사진제공=여주시
여주시가 산업단지 조성사업과 관련해 '성과 없는 공회전'이라는 비판에 반박하고 나섰지만, 지역사회에서는 '실질적 성과'가 부재한 상황에서 성과를 과도하게 포장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여주시는 '여주 산업단지, 공회전 없이 쾌속 질주!'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가남일반산업단지 클러스터가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며 "통상 3년 걸릴 절차를 1년 이상 단축했다"고 강조했다. 또 '자연보전권역 내 대규모 산단 1호 사례'라는 '전국 최초' 타이틀을 내세우며 행정적 성과를 부각했다.


그러나 지역 정계와 시민사회단체는 이에 대해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심의 통과는 행정 절차의 일부일 뿐, 실제 착공과 분양이 뒤따르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지적한다. 시민들 사이에서도 "산단이 들어온다더니 고용 효과는 커녕 눈에 보이는 변화조차 없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쾌속 질주'라는 표현이 무색하게 산업단지 조성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체감 효과가 여전히 미미하다는 것이다.

여주시는 현재 15개 산업단지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지만, 이 중 상당수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특히 시가 가남산단에 반도체 관련 기업 20여 곳이 입주 의향을 밝혔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업계와 정치권은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기업의 '입주 의향'은 언제든 철회될 수 있는 만큼, 이를 기정사실화하여 고용 효과까지 언급하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라며 "마치 굵직한 투자가 확정된 것처럼 포장하는 것은 눈속임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성과가 없는 상황에서 홍보만 앞세우는 것은 책임 있는 행정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여주시가 내세운 '전국 최초'라는 타이틀에 대해서도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는 "정치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일축하고 있다. 이들은 중요한 것은 일자리 창출과 기업 유치의 확실한 결과이며, 절차상의 '최초'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시민들이 바라는 것은 화려한 보도자료가 아니라, 실제로 삶에 영향을 미치는 투자와 일자리다. 속도전에 매몰된 접근이 아닌, 장기적인 지역 전략 차원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시민들이 바라는 것은 화려한 보도자료가 아니라, 체감할 수 있는 변화"라면서 "이런 변화를 이끌어내야 할 주체는 바로 책임있는 공직자들"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