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H형강 재유입을 막기 위해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이 반덤핑 관세 연장을 요청했다. 사진은 현대제철이 생산한 H형강. /사진=현대제철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이 중국산 H형강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치 연장을 정부에 요청했다. 내년 3월 종료를 앞둔 가운데 국내 철강업계가 수입 급증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은 지난달 기획재정부에 중국산 H형강(기초용 말뚝으로 사용되는 철강재)에 대한 덤핑방지 관세 부과 및 가격약속 조치 연장 신청서를 제출했다. 기재부는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에 해당 내용을 통보하고 재심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관세 조치는 내년 3월 말 종료될 예정이다. 이번 신청은 기존 조치를 유지해달라는 요청이다. 현행법상 반덤핑 조치를 연장하려면 종료 6개월 전까지 연장 신청을 해야 한다.

정부는 지난 2015년부터 중국산 H형강이 국내에 덤핑 가격(국내가나 생산원가보다 낮게 매겨진 가격)으로 수입돼 시장 질서를 해친다고 판단해 28.23~32.72%의 덤핑방지 관세를 부과했다. 일부 기업에는 자발적 수출단가 인상에 대한 가격약속제도 함께 적용됐다.

국내 H형강 시장은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이 80%를 차지하며 양분하고 있다. 두 회사는 관세 조치가 종료될 경우 중국산 제품이 무더기로 국내에 유입될 것을 우려한다. 2014년에는 중국이 한국에 약 73만7000톤을 수출했다. 지난해 국내 생산량(247만t)의 30%에 달하는 규모다.


시장은 이미 수입재 증가로 타격을 입은 상황이다. 건설경기 침체와 맞물려 국내 가격은 하락세다. H형강 톤당 가격은 3년 전 130만 원에서 지난달 107만 원으로 18% 떨어졌다. 같은 기간 국내 생산량은 321만톤에서 247만으로 23% 감소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실제 연장 여부는 무역위원회의 판단에 달려 있다"며 "일단 정부 판단을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내 제품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연장 조치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동국제강 관계자도 "재조사를 요청한 만큼 정부 입장이 나와야 움직일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