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인사혁신처 등에 따르면 현재 재직 중인 공무원에게는 예산 범위 내에서 명절 전후로 휴가비를 지급한다.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은 명절 휴가비의 경우 지급기준일 월봉급액의 60%를 명절 전후 15일 이내에 각 기관장이 정하는 날 각각 지급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우선 8급 1호봉은 202만8200원, 7급 1호봉은 217만3600원으로 인상되면서 이들의 명절 휴가비도 각각 121만6920원, 130만4160원으로 올랐다. 올해 9급 공무원 1호봉의 월봉급을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명절 휴가비는 200만900원(세전)의 60%인 약 120만540원이다.
구인·구직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950개사를 대상으로 '추석 상여금 지급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56.9%가 '올 추석에 상여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1인당 상여금 지급액은 평균 62만8000원이다.
5급 이상 공무원들에겐 별도의 명절휴가비가 지급되지 않는다. 1~5급 공무원의 경우 2017년부터 성과급적연봉제가 도입되면서 연봉에 합산됐기 때문이다.
공무원보수 등의 업무지침을 보면 기준연봉액에 봉급액과 정근수당, 정근가산금, 명절휴가비가 포함된다. 이때 명절휴가비는 120%로 책정되는데 설날과 추석에 각각 60%씩 지급된다. 다만 의무경찰이나 경찰대학생, 사관생도와 후보생, 경찰간부후보생 등은 제외된다.
한편 정부는 올해 국가·지방 공무원의 전체 보수를 전년 대비 3.0% 올렸다. 저연차 공무원은 처우 개선을 위해 9급 1호봉의 경우 봉급액에 추가 인상분 3.6%를 더해 전년 대비 총 6.6% 인상했다. 마찬가지로 9급 1호봉을 제외한 나머지 7~9급 공무원들도 직급과 호봉에 따라 인상률에 차등을 뒀다.
9급 초임 공무원의 월 봉급액이 200만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봉급에 수당을 더한 9급 1호봉의 총 보수는 3222만원으로 이는 월 평균 269만원 수준이다. 연 보수는 지난해 3010만원 대비 212만원(7%)이 올랐다. 또 1년 미만 공무원에겐 지급되지 않던 정근수당도 월 봉급액의 10%(약 3만원)씩 지급된다. 정근수당은 매년 1월과 7월에 두 번 지급되는 일종의 인센티브다.
공무원보수위원회는 내년도 공무원 임금 인상률을 권고안을 2.7~2.9%로 결정했다. △9급 1호봉 보수는 올해 대비 15만원 추가 인상 △6급 이하 직급 보조비는 각각 2만5000원씩 인상 △정액 급식비는 현행 14만원에서 16만원으로 2만원 인상하는 내용 등도 권고안에 포함됐다.
공보위가 내년도 임금 인상안을 기획재정부에 제출하면 기재부 심사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정부는 올해 269만원 수준(수당 등 포함)인 9급 공무원 초임 보수를 2027년까지 300만원으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한 만큼 인상률도 이 수준에 맞춰 결정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