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회사 포스코이앤씨에서 발생한 연속 사망사고로 위기감이 높아졌다. 지난 7월 이후 현장 근로자 4명이 잇따라 숨지면서 주요 공사 100여곳이 중단됐다. 고용노동부가 특별감독에 착수했고 지난 13일 국회 국토위 국정감사에서도 관련 사고가 다뤄졌다. 포스코이앤씨는 안전혁신TF를 구성해 현장 점검에 나섰지만 구조적 관리부실에 대한 비난이 이어진다.
대외 상황도 녹록지 않다. 미국이 한국산 철강 제품에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포스코의 연간 추가 부담이 4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유럽연합도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어 수출 채산성(이득 가능성) 악화가 불가피해졌다. 올해 3분기 철강 부문 영업이익 추정치가 전년 대비 36% 증가하며 회복세가 전망되지만 관세 부과가 추가될 경우 내년 실적 반등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다.
주주들도 불만이 많다. 포스코홀딩스 주가는 1년새 28%가량 하락하며 20대 그룹 지주사 중 낙폭이 가장 컸다. 2차전지 소재 사업이 상업화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는 데다 HMM 인수설이 겹치며 재무 부담 우려가 불거진 탓이다.
장인화 회장 체제는 이번 분기 실적을 기점으로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에프앤가이드 컨센서스에 따르면 3분기 포스코홀딩스 연결 기준 매출은 17조7483억원, 영업이익은 65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줄 것으로 추산된다. 6분기 연속 실적 역성장세를 끊지 못할 경우 '철강 부진→주가 하락→투자심리 위축'의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의 시선도 포스코그룹에는 불편하다. 고용노동부와 공정거래위원회가 포스코이앤씨 안전사고 재발 방지 대책 및 내부거래 공시를 점검하고 있는데, 이 와중에 다른 사고가 발생할 경우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일각에선 그룹 차원의 안전·환경 투자비 확대와 주주들을 위한 배당 안정화 방안 등이 나와야 빠른 안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포스코는 철강 본업의 수익성 회복보다 조직 전반의 신뢰 회복이 더 큰 과제가 됐다"며 "안전사고와 대외 변수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미흡할 경우 주주와 정부 모두에게 압박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