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CO₂ 포집·액화 실증시설을 준공하며 저탄소 시설 상용화에 나섰다. 사진은 경기 평택시에 위치한 CO₂ 포집·액화 실증시설. /사진제공=현대건설
현대건설이 CO₂(이산화탄소) 포집·액화 실증시설을 준공해 블루수소 산업과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겼다.

14일 현대건설에 따르면 경기 평택시 수소 특화단지에서 CO₂ 포집·액화 실증시설 준공식을 가졌다. 실증시설은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책과제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CO₂ 포집·액화·활용기술 개발'의 결과다.


현대건설은 총괄 주관기관으로서 국내 최초로 습식과 분리막 포집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통합공정을 완성했다.

현대건설은 수소생산시설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로부터 연간 3만t(톤) 규모의 CO₂를 포집·액화할 수 있는 설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포집 효율 90% 이상 ▲순도 95% 이상의 고순도 CO₂ 확보를 실증했다.

포집된 CO₂는 액화 과정을 거쳐 액체탄산과 드라이아이스로 활용하거나 특수가스로 판매할 수 있다. 합성연료·화학제품 원료로도 전환할 수 있어 상업 활용성을 확보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현대자동차, 롯데케미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맑은환경산업, 에니스, 한국특수가스 등 주요 기업과 대학·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블루수소 산업과 탄소중립 실현을 준비하는 중대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축적된 기술력과 실증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