셈 속헹 캄보디아 한국관광가이드협회장은 지난 13일(현지 시각) 프놈펜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들은 사기 조직과 연관된 사람들에게 일어난 일"이라며 "캄보디아는 관광객, 특히 한국인에게 안전한 나라"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10일간 한국 관광단을 인솔했다면서 "이들 모두 캄보디아가 안전하다고 했다. 실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며 "피해자들 대부분 관광객이 아니라 온라인으로 불법 일자리에 지원한 사람들이다. 한국 지도자가 범죄와 관광을 구분하지 않은 점이 안타깝다. 한국 정부는 자국민에게 '해외 고수익 일자리' 등을 내세운 온라인 사기 수법에 대한 예방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캄보디아 정부는 온라인 범죄에 강력 대응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터치 속학 캄보디아 내무부 대변인은 "한국인 대상 온라인 사기 사건은 다른 국가가 더 심각하다. 양국 관계가 흔들리면 오히려 국제 범죄조직이 더 활개 칠 것"이라며 "양국이 해야 할 일은 국민들에게 해외 고수익 일자리 같은 사기 수법에 속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캄보디아도 이러한 범죄의 피해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킨 피아 왕립캄보디아학원 국제관계연구소장도 "한국 정부는 특정 국가만 지목하지 말고, 모든 나라 여행 시 국민들에게 주의사항을 안내해야 한다"며 "한국의 외교적 압박은 양국 관계를 악화시킬 뿐이다. 이런 범죄는 캄보디아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1~8월 캄보디아에서 접수된 한국인 납치 신고는 330건으로, 지난해(220건) 전체 기간 대비 50% 증가했다. 외교부는 최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를 기존 2단계 '여행자제'에서 2.5단계인 '특별여행주의보'로 높인 상태다. 경찰청은 지난 15일 국가수사본부장을 캄보디아에 급파하고, 현지 한국인 대상 범죄 대응을 위한 조직을 꾸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