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3사는 킨텍스 제2전시장 9홀에서 역대 최대인 1960㎡ 규모로 통합관을 운영한다. AI를 상징하는 대문자 에이(A) 형태로 설치된 전시관은 정중앙에 스페이스존(Zone)을 중심으로 총 10개 존으로 구성된다.
PGM존에서는 한화의 차세대 수출전략 상품인 '배회형 정밀유도무기(L-PGW)'가 전시된다. 다연장로켓 천무의 미래 버전 '천무 3.0'(지대지→지대함→L-PGW)의 핵심 구성품으로, 천무 80㎞급 로켓 몸체에 자폭드론이 전방부에 탑재돼 있다.
MUM-T(유무인복합) 존에서는 '한국형' 궤도형 무인지상차량(UGV) '테미스-K '를 비롯해 아리온스멧, 그룬트 등으로 이어지는 소형 UGV 라인업을 소개한다. '테미스-K'는 유럽 최대 무인차량 기업인 밀렘로보틱스의 궤도형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원격사격통제체계(RCWS)를 장착해 한국 시장에 맞춰 최적화된 모델이다.
'K9솔루션' 존은 K9 자주포가 세계 최초의 유무인 복합 자주포인 K9A3로 발전해 나가는 로드맵을 제시한다. K9A2는 포탑 자동화로 운용 병력이 5명에서 3명으로 줄고, K9A3는 완전 무인화된다.
한화오션은 해양(Naval)존에 AI를 통해 다양한 위협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차세대 전략 수상함'을 선보인다. 한화시스템이 세계 최초로 전투체계(CMS)∙통합기관제어체계(ECS)∙통합함교체계(IBS)를 통합한 '스마트 배틀십'은 AI 기반 자동 표적인식과 교전관리 기능으로 최적의 임무 수행 결과를 도출한다.
한화시스템은 세계 최고 수준의 0.15m급 초고해상도(UHR) SAR 위성을 전시한다. 커뮤니케이션존에서는 차세대전술통신시스템 및 C2(Command&Control)을 통해 미래 지휘통제의 모습을 제시한다.
한화는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첨단 무기체계를 연결하는 '국방 소버린AI' 기술에 대한 미래 비전도 상생협력존을 통해 공개한다. 국내 IT기업 및 중소∙중견 기업과 협력해 보안이 핵심인 국방 안보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로 '한국형 AI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대한민국을 둘러싼 안보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최첨단 AI 기술로 자주국방에 기여하고, 협력사들과 경쟁력 있는 국내 방산 생태계를 조성해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