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전날 고팍스의 대주주를 바이낸스로 인정하는 임원 변경 신고를 수리했다.
앞서 바이낸스는 2023년 2월 고팍스 지분 67%를 인수하며 한국 진출을 추진했다. 이후 같은해 3월 임원 등재를 위한 '임원 변경 신고서'를 제출했지만, 신고 수리가 미뤄져 경영권을 행사할 수 없었다.
그간 금융당국은 바이낸스가 국내 자금세탁방지(AML) 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신고 수리에 신중하게 접근해 왔다.
바이낸스가 2023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피소되고 미 재무부·법무부에 AML 위반이 적발된 사건은 고팍스에 대한 신고 수리가 늦어지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SEC는 지난 5월 소송을 철회했고, AML 위반 사건은 바이낸스가 벌금 43억달러를 납부하며 종결됐다.
가상자산거래소는 현행법상 명시적인 대주주 적격심사 규정이 없다. 다만 외국환거래법·자본시장법 위반 또는 범죄수익 은닉 또는 테러자금 조달 혐의로 벌금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임원 변경신고가 불수리될 수 있어 신고 규정이 사실상 규제로 작용하고 있다.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는 국내 가상자산 업계에 지각변동을 일으킬지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바이낸스 이용자는 1억명이 넘고 하루 평균 거래량만 256억달러(약 36조3000억원)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낸스가 글로벌 1위 사업자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보니 고팍스에 영업 노하우, 서비스 개선점 등 여러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며 "바이낸스 측에서 자금을 투입하게 된다면 고팍스의 서비스 품질 개선, 시스템 고도화 등 한층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낸스를 업은 고팍스는 '업비트-빗썸' 양강 구도로 굳어진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 판도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가상자산 투자자들은 바이낸스 네임밸류를 보고 고팍스로 옮길 가능성이 있다"며 "약간의 점유율 변동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