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는 16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전남 진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1·2단계 민관협의회를 열고 집적화단지 지정을 위한 단계별 사업계획(안)을 설명하고 논의했다.
1단계 사업은 3개 단지 1.47GW규모, 2단계 사업은 2개 단지 2.13GW 규모로 총 5개 단지 3.6GW 규모다. 1·2단계는 발전단지 위치와 접속 선로 등을 고려해 구분할 뿐 동시에 추진하는 사업이다.
전남도는 이번 민관협의회를 시작으로 진도군민 대상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또 제2차 민관협의회 등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사업계획을 확정한 뒤 이달 말 기후에너지환경부에 지정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집적화단지로 지정되면 지자체 주도형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최대 0.1)를 부여받아 지역 주민사업 등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고 전남도는 설명했다.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는 2026년 3월 해상풍력법이 시행되면 폐지되는 제도지만 많은 지자체의 건의로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이달 말까지 마지막 신청을 받고 있다.
현재 인천·울산·전북 등 전국 기초·광역 자치단체 8곳 내외에서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과는 내년 3월 이전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정현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전남 진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1·2단계가 모두 지정되면 연간 REC 2800억원을 확보해 주민 이익 공유와 에너지 기본 소득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며 "지역주민·어업인 등 지역의 목소리를 반영한 사업계획을 준비해 집적화단지로 반드시 지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