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미국이 무역적자를 해결할 카드로 '마러라고 합의'라는 약달러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편 미국의 아킬레스건인 국가부채는 5경원에 이르러 이자 비용만 매년 1조달러가 넘어 지속 불가능하다고 평가받는다.
달러는 과연 영원한 안전자산일까. 각종 암호화폐의 부상, 달러 블록에서 독립하려는 중국의 발전, 미국의 인플레이션 리스크와 정치적 불안정까지 위기 신호가 곳곳에서 울리는 가운데, '그래도 달러'라는 믿음과 '이번엔 다르다'라는 의심 사이에서 흔들리는 시대적 불안에 답하기 위해 경제 석학 케네스 로고프가 나섰다.
세계 금융의 흐름을 읽는 탁월한 능력으로 미국 주택시장의 붕괴와 유럽 부채위기, 2015년 중국발 금융위기 역시 수년 전부터 예측하고 경고한 바 있는 그는 신간 '달러 이후의 질서'에서 지난 70년에 걸쳐 달러가 지배적 통화로 우뚝 올라선 경위를 탐색하고, 달러의 영향력 아래에 놓인 국가들의 현황을 살피며, 앞으로 달러가 어떤 길을 걷게 될지 전망한다.
이 책은 다양한 데이터와 치밀한 분석, 각국의 정상 및 경제 전문가와 나눈 이야기를 바탕으로 질문의 답을 찾아나간다. '달러는 어떻게 최고의 통화가 되었는가' '소련의 루블화, 일본의 엔화, 유럽의 유로화 같은 과거의 도전자들은 왜 결국 실패했는가' '현재의 도전자 중국은 어떤 상황인가' '암호화폐는 달러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물론 달러의 지배력이 아직은 유효하다. 여전히 전 세계 모든 외환 거래의 90퍼센트에서 한쪽 통화는 달러이고, 석유 거래 시 달러로 가격이 표시되는 비중은 80퍼센트에 이른다.
그러나 저자는 마냥 낙관할 수 없는 현실을 예리하게 짚는다
"오늘날 세계 금융 시스템은 중대한 변곡점에 도달했다." 번역가 노승영이 정확하고도 매끄럽게 번역해낸 '달러 이후의 질서'는 통화 패권을 둘러싼 국제 질서와 현대 경제의 흐름을 낱낱이 파악하기에 가장 좋은 책이다.
━
달러 이후의 질서/ 케네스 로고프 지음 /노승영 옮김/ 월북/ 2만9800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