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이하 현지시각) 스테이시 마르티넷 어도비 CCO는 포춘과의 인터뷰에서 "AI 기술을 단순히 이력서에 기술하는 수준이 아니라 실제로 채용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지원자를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어 "AI가 커뮤니케이션과 마케팅, 창작 방식을 재편하고 있다"며 "창의성과 AI 활용 능력을 겸비한 인재가 앞으로 경쟁 우위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AI를 활용해 초안을 다듬거나 제안 기능을 통해 문서를 개선하는 사례도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AI 활용 경험이 없는 것이 불이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마르티넷은 "AI를 아직 써보지 않았다고 해서 불합격하는 일은 없다"며 "하지만 어도비에서 일하려면 결국 익혀야 한다. 일하는 방식이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자기소개서나 지원 동기 작성 시 'AI 금지'를 고수했던 AI 기업 앤스로픽도 지난 7월 방침을 바꿔 지원서나 자기소개서 등 문서 작성 단계에서 AI 사용을 허용했다. 다만 면접이나 테스트 단계에서는 여전히 AI 활용이 제한된다. 지미 굴드 앤스로픽 인재담당 책임자는 "공정성 문제 등을 고려해 단계별로 AI 활용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조정했다"고 전했다.
메타도 지난 7월 개발자 채용 시 AI를 활용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메타는 "엔지니어들이 AI를 활용해 실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집중하고 있다"며 "면접에서도 이같은 도구 제공 방식을 시험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수순"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글, 골드만삭스 등은 여전히 채용 과정에서 AI를 활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