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와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생태계' 구축을 위해 손잡았다. 사진은 지난 20일 삼성SDI 기흥사업장에서 열린 'ES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에서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과 남화영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의 모습. 사진 왼쪽부터 김성주 전기안전공사 기술이사, 남화영 전기안전공사 대표이사 사장, 최주선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박진 삼성SDI 중대형사업부장 부사장. /사진=삼성SDI 제공
삼성SDI와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생태계' 구축을 위해 손잡았다.

삼성SDI는 지난 20일 기흥사업장에서 한국전기안전공사와 ESS와 무정전전원장치(UP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전환'과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는 ESS 시장의 안전 기반을 선제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글로벌 ESS용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는 삼성SDI와 에너지 안전 전문기관인 한국전기안전공사가 협력함에 따라 ESS 안전 분야에서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전기안전공사는 "삼성SDI는 최근 국내 최초로 진행된 장주기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 전체 발주 물량의 약 80%를 수주할 만큼 시장을 주도하는 기업"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사고 예방 시스템이 구축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삼성SDI는 한국전력거래소가 진행할 2차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앞두고 제품 안전성을 한층 강화하면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 안전을 총괄하는 전기안전공사가 삼성SDI의 배터리 안전성을 보증함으로써 이번 입찰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무협약에는 ▲ESS 등 설비의 안전관리 정책 발굴과 개선안 마련 ▲사고 예방 매뉴얼 공동 개발 및 대응체계 구축 ▲제조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소화시스템 설치 유도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 교류 등이 포함됐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세부 이행 과제를 구체화하고 협력 체계를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

최주선 삼성SDI 대표는 "이번 협약은 삼성SDI의 기술 리더십을 사회적 책임으로 확장하는 계기"라며 "전기안전공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제품 안전성을 한층 높이겠다"고 말했다.

앞서 양측은 지난 5월에도 극한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를 공동 개발하는 등 ESS 안전 분야 협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