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시장은 24일 오전 서울 노원구 상계5구역을 국민의힘 지도부와 함께 방문했다. 주민들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며 실효성 있는 정비사업 추진과 10·15 대책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오 시장은 "이곳 동북권역의 재정비촉진지는 20여년 전부터 시작됐던 이른바 뉴타운 사업이 여러 이유로 지체됐다"며 "국민의힘 지도부가 속도를 붙여주시려고 함께 와 주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개발·재건축에 대한 적대 정책 때문에 이곳이 낙후된 지역으로 20년 동안 남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상계5구역은 2005년 3차 뉴타운 지역에 포함됐으나 20년 동안 사업이 표류했다. 2009년 조합설립인가를 받았지만 조합장·시공사 교체 등 내홍이 이어졌다. 인근 상계4·6구역은 이미 입주를 마쳐 '상계역 센트럴푸르지오'(4구역) '노원 롯데캐슬 시그니처'(6구역)로 탈바꿈하며 차이를 보인다.
지난 3월 GS건설·롯데건설 컨소시엄이 시공사로 선정되며 사업은 재추진 궤도에 올랐다. 오는 12월 통합심의를 앞두고 있으며 2029년 착공·2033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으로 대출 규제가 강화되자 조합원 사이에서는 또다시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오 시장은 "저는 이곳보다 훨씬 열악한 삼양동에서 성장했다"며 "여러분들은 저희가 양복 입고 시장 하니까 애환을 모를 거라 짐작하지만 그렇지 않다. 최선을 다해 주거환경을 개선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외곽의 주택가격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한강벨트(마포·성동·광진)와는 달리 급등하지 않아, 서울 전역을 규제지역으로 묶은 것은 과도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이에 신속통합기획 시즌2를 적용해 정비사업의 각종 인허가 절차를 줄이고 용적률 특례를 확대할 방침이다. 재정비촉진사업 규제 혁신을 통해 법적상한 용적률을 최대 1.2배까지 확대, 기준 용적률은 20%에서 30%로 완화한다.
이날 현장에는 오 시장을 비롯해 장동혁 국민의힘 부동산특별위원장, 송언석 원내대표, 김도읍 정책위의장 등 국민의힘 부동산정책정상화특별위원회(부동산특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재개발 추진 현장을 점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