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박 수석대변인은 최 위원장에 대해 "국정감사가 끝나가면 한 번 (논란) 정리가 필요하다는 건의를 당 지도부에서 드릴 생각"이라며 "당 대표로 과방위원장에게 직접 전화를 건 그 자체가 메시지"라고 밝혔다. 이어 "애초 국감에서 과방위원장으로 언론사 피감기관 감사를 할 때 (MBC 보도본부장을) 퇴장시킨 일이 있었다"며 "그 일이 있을 때 정 대표가 최 위원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경위를 물었다. 내용은 길게 말할 수 없으나 최 위원장은 그 경위를 설명했다"고 말했다.
앞서 최 위원장은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노벨생리의학과 노무현 정신. 그리고 깨시민(깨어 있는 시민)'이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한 바 있다. 그는 "다시 노무현 정신으로 무장해야 할 때"라며 '악의적 허위 조작 정보'를 암세포, 이를 막는 조절 세포를 '깨어있는 시민의 힘'과 '노무현 정신'에 빗대 표현했다.
이를 두고 국민의힘 측에서 '엿장수 마음이 노무현 정신은 아니다'라고 지적한 것에 대해 박 수석대변인은 "최 위원장께서도 그 정도의 과정이 있었으면 어제 한 번쯤은 메시지를 참아줬으면 어땠을까 생각이 든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어 "일부 언론에선 왜 당 대표가 제재하거나 경고하지 않냐는 메시지를 발신하지 않나. 당 대표는 그렇다고 경위를 파악하지 않고 무조건 이야기할 순 없고 그래서 전화를 건 자체가 그 사안이 간단하지 않다는 판단"이라며 "공적 영역에 대해선 당에서도 염려하는 시각으로 보고 있고 할 일은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6일 최 위원장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대기업, 언론사 관계자 등의 이름과 액수가 적힌 명단을 텔레그램을 통해 보좌진에게 전달하는 장면이 언론사에 포착된 것과 관련해선 "그날 최 위원장이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에게 (축의금) 돌려주라고 지금 했어'라고 말했다. 환급 문자에 보면 '900 얼마는 입금 완료'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부적절한 축의금을 골라서 돌려준 행위는 이 정도는 좋게 봐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구분해 말한 것이다. 전체를 두둔하거나 옹호한 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