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뉴스1에 따르면 국방부는 "군사정찰위성 5호기가 다음달 2일 오후 2시쯤(현지시각 2일 오전 1시) 미국 플로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된다"고 밝혔다.
군사정찰위성 5호기는 425사업 마지막 위성이다. 위성 5기가 모두 전력화되면 군집 운용을 통해 북한 도발 징후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우리 군은 약 2시간 간격으로 북한 미사일 기지와 핵실험장 등 주요 시설 정보를 위성사진·영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국방부는 "우리 군은 한국형 3축 체계 기반이 되는 핵심 전력을 확보해 킬체인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425사업은 전자광학·적외선(EO·IR) 위성 1기(1호기)와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4기(2~5호기) 등 고해상도 중대형 정찰위성 5기를 배치하는 사업이다. 1호기는 2023년 12월, 2호기는 지난해 4월, 3호기는 지난해 12월, 4호기는 지난 4월 발사됐다.
정규헌 방위사업청 미래전력사업본부장은 "5호기 발사를 반드시 성공시켜 국제 우주안보체계에서 한국군 위상을 드높일 것"이라며 "군 정찰위성 체계 확보 이후에도 현재 개발 진행 중인 초소형 위성 체계 연구개발 사업을 적기에 추진함은 물론 우주작전 수행 여건 보장을 위한 발사장 시설과 발사체 기술 확보를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425사업 이후에는 고체연료 우주발사체를 활용한 소형·초소형 정찰위성 50~60기도 발사될 예정이다. 이들 위성이 2020년대 후반 전력화되면 우리 군은 30분 단위로 북한 등 한반도 지역을 정찰할 수 있게 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