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손해보험은 지난 2023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2년5개월 동안 항공기펀드와 해외 상업용 부동산, 신흥국 인프라 펀드등 고위험 자산군을 중심으로 엑시트를 추진해 총 31건, 약 7000억원 규모의 자산을 정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손보는 2023년부터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대체투자 수익증권 중 위험등급이 높은 자산을 우선 매각 대상으로 분류하고 자산별 회수 가능성과 유동성을 중심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재편해 왔다.
이 같은 리밸런싱을 통해 채권 등 안전자산 비중은 크게 확대돼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롯데손보 전체 금융자산에서 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49.1%로 절반에 육박했다.
이 기간 롯데손보는 과거 약정된 펀드의 캐피탈콜 이행건만 제한적으로 집행한 가운데 신규 대체투자도 전면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부동산·인프라·항공기 리스 등 고위험 자산의 손실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결정이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롯데손보 매각이 지지부진했던 가장 큰 이유는 대체투자를 중심으로 고위험 자산 비중이 높았다는 것"이라며 "금리 상승기에 취약한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자산·부채 만기(듀레이션) 매칭을 강화하고 장기채권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한 효과가 점차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 결과 보험사의 핵심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은 141.6%로 올 상반기 말(129.5%)보다 12.1%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금융당국의 권고치인 130%보다 11.6%p 높은 수준이다.
대체투자 감축으로 위험가중자산이 줄고 채권 확대에 따른 요구자본 축소 효과가 직접 반영된 결과다.
이처럼 롯데손보의 재무구조가 개선된 상황에서 금융위원회가 적기시정조치를 검토하면서 그 실효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금융위가 검토 중인 적기시정조치는 지난해와 올해 초 진행한 검사를 근거로 한 것이다. 이미 자본건전성이 개선된 상황에서 실효성이 있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롯데손보를 대상으로 단행한 정기검사(2024년 12월)와 수시검사(2025년 2월)에서 롯데손보의 종합평가등급을 3등급, 자본 적정성 부문을 4등급으로 책정한 후 이를 올해 5월 금융위원회에 전달했다. 종합등급이 3등급이면 문제가 없지만 자본 적정성이 4등급이 돼 경영 개선 권고 대상에 오른 것이다.
문제는 자본 적정성 평가 방식이다. 자본 적정성은 계량평가 60%, 비계량 40%로 이뤄진다. 롯데손보 경우 기준일인 지난해 6월 말 현재 자본 적정성의 계량평가 등급은 3등급이었다. 하지만 금감원이 비계량 항목에서 자체 위험 및 지급여력 평가체계(ORSA) 도입 유예 등을 이유로 비계량에서 4등급을 매기면서 전체 자본 적정성 등급이 4등급으로 내려갔다.
롯데손보에 적기시정 조치가 내려질 경우 20년 만에 처음으로 비계량 지표를 근거로 한 제재가 된다는 점에서 과도한 조치라는 지적도 나온다.
적기시정 조치는 금융 당국이 부실 금융사에 증자나 채권 처분 같은 재무 개선 조치를 이행하도록 강제하는 것이다. 경영개선권고는 적기시정 조치 중 가장 낮은 단계다. 경영개선 권고가 이뤄지면 부실자산 처분이나 증자 및 경비 제한 조치가 내려진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안정적 운용구조로 전환하면서 재무건전성을 크게 끌어올렸다"며 "단기 수익률보다 자산의 회수 가능성과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맞춘 리밸런싱 전략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고 전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보험업법상 경영개선 권고 부과 기준은 킥스 100% 이하"라며 " 비계량평가 가운데 일부 항목에서 취약 판정 받은 것으로 적기시정조치를 내리는 건 무리"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