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전국 지식산업센터 1066곳 중 40% 가량이 공실이다. 2022~2023년 수도권에 대거 공급된 지식산업센터 입주가 이어지고 있으나 잔금대출이 막히면서 입주율이 낮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은행권에서는 지식산업센터 공실이 증가한 데 따라 낮게 책정된 감정평가액을 근거로 대출 한도를 축소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 일괄 기준 적용은 과도하다는 게 분양계약자와 업계의 입장이다.
지식산업센터는 통상 계약금 10%, 중도금 50%, 잔금 40% 비율로 납부한다. 중도금은 집단대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입주가 시작되면 잔금은 부동산담보대출로 전환된다.
금융권은 지난해까지 분양가의 70% 이상 해주던 대출을 올 들어 40% 이하로 줄였다. 분양계약자들은 자부담으로 잔금을 치러야 하지만 한 번에 최대 수십억원의 자금을 마련하는 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잔금을 내지 못한 분양계약자들이 줄줄이 입주를 미루거나 포기하면서 시행사와 시공사도 자금난을 겪고 있다. 경영난이 길어지면 연쇄도산이 우려된다.
업계는 산업·업무시설인 지식산업센터의 경우 주택과 달리 정부의 대출 규제 발표가 없었지만, 금융당국의 간접 압박을 우려한 은행이 자진해 규제를 강화한 것으로 해석한다.
업계 관계자는 "입지와 상품이 우수해도 잔금대출이 되지 않으면서 입주율을 올리기가 어려워졌다"며 "신용도·사업성·담보가치에 기반한 선별 대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