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강협회 철강풍력위원회는 11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풍력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해상풍력용 소재 국산화 및 공급망 강화 방안'을 주제로 철강특별세션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한국철강협회
철강업계가 풍력업계, 연구기관, 정부와 산업 생태계 전반의 협력 방향을 공유했다.
한국철강협회 철강풍력위원회는 11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풍력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해상풍력용 소재 국산화 및 공급망 강화 방안'을 주제로 철강특별세션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급성장이 예상되는 국내 해상풍력 시장에서 ▲풍력발전 국산 소재·기자재 확대 ▲풍력발전용 소재 품질기준 마련 ▲탄소배출 인증 기반의 소재 경쟁력 확보 등의 주요 이슈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션은 철강풍력위원회 위원장의 개회사로 시작해 산업연구원 이슬기 연구위원이 '해상풍력 시장 확대와 철강산업의 공급망 전략', ㈜벤스트 조경오 대표가 '강재 탄소배출 인증 기반의 풍력용 소재 국산화 방안'을 주제로 각각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 KEI컨설팅 김범조 전무가 좌장을 맡아 철강사, 풍력 개발사, 건설사, 정책기관 등이 참여한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김창수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해상풍력은 국가 에너지전환을 견인할 핵심 산업이자 철강산업의 미래 수요 기반"이라며 "국산 철강재가 적용된 풍력 구조물이 해외 프로젝트까지 확장될 수 있도록 공급망·표준·정책이 연계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철강업계와 풍력업계가 공동 가치사슬을 구축하는 상생 산업 모델을 만들어가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홍정의 한국철강협회 상무는 "해상풍력은 타워·하부구조물·전력설비 등 전 공정에서 철강재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최근 공공주도형 입찰 도입과 공급망 평가 기준 강화로 국산 기자재 활용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특히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등을 위해 탄소배출량이 검증된 철강재 적용 확대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올해 확정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2038년까지 풍력발전 40.7GW 보급 목표를 제시했다. 또한 '해상풍력 특별법' 제정을 통해 인허가 절차 간소화 및 사업 추진 기반을 마련했으며 12월 발표 예정인 '제6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산업·공급망 지원 정책이 구체화될 전망이다.

협회는 이번 학술세션을 계기로 ▲풍력업계-철강업계 간 협력 네트워킹 강화 ▲국산 철강재 적용 확대를 위한 품질·인증 기준 개선 ▲저탄소 강재 활용과 탄소검증제 도입 등 공급망 안정화 전략 마련을 위한 후속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철강협회 철강풍력위원회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현대스틸파이프, 휴스틸, 넥스틸, 동양철관, 동국S&C, 창원벤딩 등 10개 회원사가 활동 중이다. 위원회는 국내 철강산업과 풍력 생태계를 잇는 핵심 협업 플랫폼으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