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적 개선' 김경아… 에피스만의 '성공 스토리' 주목━
김 사장은 취임 이후 실적 개선을 이루며 경영 능력을 입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올 1~3분기 매출 1조2426억원, 영업이익 3468억원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9.0% 늘고 영업이익은 4.5% 줄었다. 영업이익 감소가 일회성 요인인 마일스톤(단계적 기술료)에서 비롯된 점을 고려하면 회사 내실을 다지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일스톤 제외 시 삼성바이오에피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426억원에서 3059억원으로 114.5% 상승했다.
실적 개선에 성공한 김 사장의 다음 과제는 회사 조직 안정이다.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적분할을 통해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신설하고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삼성에피스홀딩스 산하로 편입시켰다. 김 사장은 삼성에피스홀딩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를 겸직하며 경영 총괄을 맡았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자회사별 사업 전략 수립을,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를 담당한다. 김 사장은 "에피스만의 성공 스토리를 쓰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제임스박, 올해 '3건 수주' 쾌거… 소규모 물량은 과제━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수주 규모가 경쟁사 대비 작은 것은 제임스박 대표가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힌다.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수주 금액은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으나 수십억 원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올해 ▲ADC(항체-약물 접합체) 임상시험용 후보물질 ▲항체신약 잔키스토믹 원료의약품 임상 물량 ▲바이오의약품 임상 3상 및 상업화 프로젝트 물량 등을 수주했다. 임상용 물량은 대부분 규모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제임스박 대표는 인천 송도 바이오캠퍼스 완공 시기에 맞춰 대규모 추가 수주를 꾀할 전망이다. 12만리터 규모인 송도 바이오캠퍼스 제1공장은 내년 완공돼 2027년 상반기 상업 생산에 들어간다. 제임스박 대표는 추가 수주를 위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과 함께 글로벌 네트워킹을 넓히며 수주 확대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 1월과 6월 각각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와 바이오USA에 동행했고 지난달에는 바이오재팬을 함께 찾아 일본 공략에 나섰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