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전남도에 따르면 정부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12·29 무안국제공항 여객기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위원회가 공식 출범해 첫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김민석 국무총리(위원장)와 김영록 전남도지사, 박미경 민간위원장, 7개 관계부처 장관, 김유진 유가족 대표 등 위원 총 20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지원·추모위원회와 민간전문가 자문단 운영계획, 피해지역 경제활성화 지원방안, 피해자 종합지원대책과 세부지원계획 등 4가지 주요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민간전문가 자문단은 항공과 법률, 세무 등 8개 분야 전문가로 구성되며 유가족 질의사항에 대한 전문 분야별 자문, 설명회 등 전문지식 제공 역할을 한다.
특히 참사에 따른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여행업계와 지역 상권 지원, 문화·관광 등 총 13건 1300억원 규모의 피해지역 경제 활성화 사업이 논의됐다.
또한 피해자 지원을 위한 △생활지원금과 특별지원금 △신체적·정신적 질환에 대한 의료지원금 △근로자 치유 휴직 △법률 지원 △미성년 피해자 보호와 지원 대책 등이 의결됐다.
김영록 지사는 "생계안정 지원과 심리·의료 지원 등 유족이 원하는 부분이 최대한 반영돼 신속히 시행되도록 협조 부탁드린다"며 "전남도에서도 최선을 다해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무안국제공항 폐쇄로 여행업계 피해가 심각하다"며 여행업계의 타공항 이용 교통비 지원 등 국비 지원과, 무안국제공항 재개항 시기 등 정상화 로드맵 발표를 건의했다.
사고 진상규명과 관련해선 "이미 조사가 완료된 방위각 시설에 대해서는 빠른 시일에 별도 발표를 진행해, 유가족이 조금이라도 납득하고 신뢰하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