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13일 오전 한국부동산원 서울지역본부에서 '부동산 가격 공시 정책 개선을 위한 공청회'를 주최했다. 2026년도 부동산 공시가격의 적정가격 반영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자 마련됐다.
박준형 국토부 토지정책관은 개회사에서 "부동산 가격 공시제도는 조세·복지·금융 등 67개 제도에 활용되기에 국민 생활과 매우 밀접하다"며 "2020년에 마련된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이 납세 부담을 가중시켜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어 개편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2020년 문재인 정부는 공시가격과 시세의 격차를 줄이고자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수립했다. 문 정부는 2030년까지 공시가격을 시세의 90.0% 수준으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하지만 2023년 윤석열 정부는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이 납세 부담을 가중시킨다며 2020년 수준인 69.0%로 낮췄다. 해당 수치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공동주택 69.0% ▲단독주택 53.6% ▲토지 65.5% 수준이다.
박 본부장은 "국민들이 세금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급격한 조정은 신중해야 한다"며 "시장 변동을 충실히 반영해 수년에 걸쳐 단계적인 조정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반을 다지는 1년 동안 현행 시세반영률을 유지하는 게 맞다고 본다"며 "정부는 통용되는 국제 기준을 적용하고 시장 상황과 정책 목표, 국민 수용성 등을 고려해 세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조정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토지주택위원장(감정평가사)은 "부동산 공시가격은 조세·복지·금융 등 67개 제도에서 활용되는 중요한 기준"이라며 "변동성이 가장 큰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공시가격을 계산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실거래가는 투기 수요와 각종 금융 제도 변경으로 빠르게 가격이 변동한다"며 "실거래가를 여러 지표 중의 하나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