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선 HD현대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정기선 HD현대 회장이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에 2030년까지 5년 동안 15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 주재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인공지능(AI) 시대 기계 로봇 사업에서 절반 이상인 8조원, 조선해양 분야는 7조원을 투입해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과 생산 자동화 기술 적용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HD현대는 '신생에너지'(HD현대에너지솔루션·HD현대오일뱅크)와 'AI 기계·로봇'(HD현대로보틱스·HD현대건설기계) 분야에 8조원을, HD한국조선해양 산하 계열사들은 조선·해양 분야 디지털 전환과 생산 자동화에 7조원을 투입한다.


정 회장은 이번 투자가 지역 균형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전남 대불산업단지 스마트조선소 구축 기술 개발 사례를 언급하며 "대불산업단지에 위치한 30여 개 중소 기자재 업체와 지역 중소 조선소의 경쟁력 강화, AI 기술 수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미 조선업 협력 사업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사업 의지도 강조했다. 정 회장은 "미국 펀드사 서버러스 캐피털과 50억 달러 규모의 마리타임(Maritime) 펀드를 조성하기로 합의했으며 내년부터 미국 조선소 인수·업그레이드, 첨단 선박 개발 및 건조, 조선 기자재 공급망 확충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 회장은 이어 "미국 최대 방산 조선소인 헌팅턴 잉글스와 차세대 군수지원함 NGLS 공동 건조를 추진하고, 향후 미국 내 공동 건조를 위한 조선소 설립도 협의 중"이라고 했다.


이 밖에도 ▲미국 동남부 최대 상선 조선소 에디슨 슈에스트사와 컨테이너 운반선 및 MR탱커 공동 건조 ▲AI 방산 기업 안두릴과 미 해군 무인함정 설계 협력 ▲독일 지멘스와 미국 조선소 디지털 전환(DX) 및 비조선 분야 엔지니어 인력 양성 등 HD현대의 미래 사업 비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