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엠배서더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D.CON 2025'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가 열렸다. 이날 여야 국회의원과 디지털 자산 전문가들이 모여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미래에 대한 토론을 나눴다. /사진=김미현 기자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19일 열린 'D.CON 2025'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에서 'NEXT 대한민국, K-디지털자산'을 주제로 여야 국회의원과 디지털자산 전문가들이 모여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미래와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개회사에서 이헌승 의원(국민의힘·부산 진구을)은 일본과 싱가포르의 선제적인 체계 정비 사례를 언급하며 세계 금융 질서가 혁신의 시대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 의원은 "우리나라 역시 디지털 자산 기본법을 논의 중이고 블록체인과 AI(인공지능)의 결합을 통한 금융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 감시 체계 확립과 정보의 비대칭성 해소, 국제 기준과의 정합성 확보 등 투자자 보호를 위한 촘촘한 안전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대한민국 디지털 자산 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산업 역동성을 해치지 않는 균형 잡힌 제도 마련을 위해 힘쓰겠다"며 입법을 뒷받침하겠다는 정책적 의지를 내비쳤다.

김성원 의원(국민의힘·경기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구을)은 디지털 자산 산업의 국가 경쟁력 강화와 패러다임 혁신을 국회서 본격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글로벌 경제와 디지털 자산업계에 엄청난 변화가 있었지만 지금까지 국회와 행정부, 업계 모두 손을 놓고 있던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여야가 함께해 빠른 속도로 변화를 체감할 수 있게 하겠다. 산업 구조 전환이라는 성장방정식을 다시 이용할 때"라고 강조했다.
"디지털자산, 위험요인이 아니라 성장의 기회"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엠배서더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19일 열린 'D.CON 2025'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에서 발언하는 민병덕 의원. /사진=김미현 기자
민병덕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안양시동안구갑)은 "1900년과 1913년의 뉴욕 맨해튼을 비교한 사진이 있다. 1900년은 마차가 거리를 가득 메웠고 자동차는 딱 한 대였지만 불과 13년 뒤 마차는 단 한 대로 줄었다. 이것이 바로 파괴적 혁신이 가져온 변화"라며 "지금 대한민국이 1900년 뉴욕과 똑같은 변곡점에 서있다"고 강조했다.
민 의원은 "우리나라의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은 세계 3위지만 관련 법은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술은 이미 준비됐으며 글로벌 경쟁은 치열하다. 원화 글로벌화에 대한 꿈을 실현해야 한다. 이제 디지털 자산으로 금융 혁신의 글로벌 리더가 될 차례"라며 "10년 후인 2035년, 오늘 개최한 디콘 콘퍼런스가 디지털 대한민국을 설계한 콘퍼런스였다고 회자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정문(더불어민주당·충남 천안시병) 의원은 우리나라 디지털 자산 분야의 제도적 불확실성을 꼬집으며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속한 입법과 정부 대응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이 의원은 "오늘날 대한민국 산업계는 다양한 영역에서 K신드롬이라고 불릴 만큼 창의성과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지만 디지털 자산 분야에서는 흐름에 동참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대로라면 대한민국의 디지털자산 시장 글로벌경쟁력은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디지털자산을 금융리스크가 아니라 국가성장 기회로 인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현재 더불어민주당에서 8명의 의원과 함께 '디지털자산 TF'를 구성해서 각계각층 전문가들과 입법화 속도 높이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11월 말, 12월 초에 관련 법안을 준비하는 중"이라며 "여야 정쟁을 떠나 신속한 논의를 통해 글로벌 자산시장 선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