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하 경상북도의원(국민의힘·기획경제위원회)은 지난 26일 열린 2026년도 예산안 심의에서 김천혁신도시 상가 공실 실태를 지적하며 "도내 상권 붕괴의 위험 신호가 현실화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박 의원은 "경북 지역 상가 공실률은 19%로 전국 평균(13.4%)을 크게 웃돌며 전국 3위 수준"이라며 "김천혁신도시는 42.13%에 달해 구미(26%), 포항(24.2%), 안동(16%)보다 높은 것은 물론 사실상 도내 최악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상황은 단순 경기 침체의 문제가 아니라 인구 유출, 비대면 소비 확산, 초기 상업용지 과다 공급 등 구조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누적된 결과"라며 "공공기관 2차 이전 정책과 연계한 도시 회복 전략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또 내년도 신규 반영된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국비 49%, 도비 15%, 시군비 34%가 투입되는 매칭사업임에도 국고보조금 교부가 당초 9월에서 11월로 지연되면서 현장 준비에 차질이 빚어졌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개선 방안으로 △시민·전문가 참여형 거버넌스 구축 △스마트도시 데이터 활용 체계 강화 △행정·기술 지원 확대 △사업 추진 리스크 사전 관리체계 마련 등을 제시하며 "스마트도시는 일회성 시설 투자가 아닌 도시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전략 사업"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