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경상남도 지사는 27일 "330만 도민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누리호 성공의 출발점은 경남이었다"고 강조했다.
도에 따르면 이번 발사에는 경남 기업들의 기술력이 총집결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구성품 제작과 조립, 발사 운영을 총괄한 데 이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두원중공업, 에스엔케이항공, 현대로템 등 지역 기업이 대거 참여했다. 박 지사는 "민간 기업이 발사체 제작과 운용을 주도하며 경남이 우주항공산업의 핵심 거점임을 다시 확인했다"고 말했다.
누리호는 이번 발사를 통해 주탑재체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위성을 고도 약 600km 태양동기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시켰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KAI가 개발했으며 경남 기업의 정밀 제작 기술이 적용돼 세계적 경쟁력을 입증했다.
경상남도는 누리호의 반복 발사와 성능 고도화에 맞춰 지역 우주항공산업 생태계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누리호는 2026년 5차, 2027년 6차 발사가 예정돼 있으며 차세대중형위성 4·5호와 과학위성도 순차적으로 개발된다.
이에 박 지사는 "경남이 글로벌 우주항공산업 중심지로 자리 잡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도는 우주항공클러스터 협의체 구성, 전문 인재 양성, 기업 지원 확대 등 산업 기반을 강화하고, 산·학·연 협력 기관인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설립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김명주 경상남도 경제부지사는 이날 새벽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 현장을 직접 참관하고 정부·유관기관 관계자들과 우주산업 경쟁력 제고와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