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진 의장은 27일 네이버 1784에서 열린 네이버-두나무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네이버가 앞으로 차원이 다른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했다.
이해진 의장은 "양사 간 힘을 합치는 것은 회사 미래 발전에 굉장히 중요한 기회라는 생각이 든다"며 "네이버가 공룡이라는 표현도 많이 쓰고 있지만 세계 수준으로 보면 빅테크에 비하면 시가총액이나 연구개발투자 면에서 100분의1 수준의 작은 회사"라고 말했다.
성장이 필요한 회사가 살아남는 길은 기술에 대한 시도라고 강조했다.
이 의장은 "지난 25년 넘게 고생을 많이 했고 매년 생존을 고민할 만큼 어려운 경쟁을 해오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자국의 검색 엔진 시장을 지키고 있는 것이 전 세계에서 네이버밖에 없다는 것은 그만큼 경쟁이 힘들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했다.
이 의장은 "그런 경쟁이 살아남기 위해서 기술에 진심으로 투자하고 개발해 왔다"며 "글로벌 빅테크가 잘 알지 못하는 새로운 기획들을 해왔다"고 말했다.
단일 기업으론 힘든 경쟁이기에 좋은 기술과 서비스를 보유한 회사와 연대해온 것이 생존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장은 "PC 시대에는 한게임 등과 힘을 합쳐서 시장을 지켜나갔다"며 "모바일 시대에서는 첫눈이라는 회사를 합병해서 일본에 진출해 라인이라는 성공 사례를 만들었다"고 했다.
AI와 웹3의 파고 속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 의장은 "여기서 살아남으려면 웹3에서 가장 좋은 기술과 이해력을 갖고 있는 회사랑 힘을 합쳐야만 다음 단계로 나갈 수 있다"며 "그것이 두나무와 융합을 하게 된 가장 큰 이유"라고 설명했다.
합병은 내부에서 많은 노력을 수반했다고 강조했다.
이 의장은 "각자 살아왔던 조직들이 합쳐서 새 조직을 만들려면 많은 노력도 해야 되고 고통도 있고 희생도 필요하고 점점 많은 일들이 필요하다"며 "좀 더 쉬운 길을 가지 않고 어려운 길을 선택하는 이유는 글로벌하게 진출하겠다는 꿈과 사명감 때문"이라고 역설했다.
AI 시대에선 협력이 필수라고 봤다. 그는 "AI 시대에서 대한민국이 강국이 되려면 좀 더 많은 회사들이 서로 힘을 합쳐 나가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협력의 성공 사례들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