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3.3% 감소했다. 수출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경제성장률을 끌어내렸다. /사진=이미지투데이
한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3.3%로 고꾸라졌다.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때인 1998년 이후 22년여 만에 최저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하늘길이 막히면서 한국 경제의 중심 축인 수출은 전기대비 16.6% 감소해 역대 최악의 수준을 기록했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3.3% 감소했다.


수출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경제성장률을 끌어내렸다. 수출은 자동차, 석탄 및 석유제품 등으로 전기대비 16.6%가 감소해 전분기(-1.4%) 대비 감소폭을 대폭 확대하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타격을 그대로 반영됐다.

수출 감소폭은 지난 1963년 4분기(-24%) 이후 최대다. 수입 역시 원유 등을 중심으로 7.4%가 줄며 전분기(-3.6%) 대비 감소폭을 확대했다.

투자도 모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1.3% 감소했고 설비투자는 운송장비가 줄며 전기 대비 2.9% 줄었다.


반면 민간소비는 승용차와 가전제품 등 내구재 등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1.4% 늘어 한 분기만에 증가 전환했다. 정부지출 역시 물건비 지출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1% 늘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성장률이 -9.0%로 곤두박질쳤다. 제조업은 운송장비,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을 중심으로 전기 대비 9%가 감소했고 건설업은 건물건설이 줄며 0.2% 감소했다.

농림어업은 채소 등 작물이 줄어든 영향에 9.7% 감소했다. 다만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운수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1.1% 줄어 전기(2.4%) 대비 감소폭을 축소했다.

한편 한국 경제성장률은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경기침체 국면에 진입하게 됐다. 기술적으로 2분기 연속 역성장하면 경기침체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