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방역 당국에서는 일상적 의료체계에서도 코로나 대응이 가능하도록 현재 '1급'으로 지정된 감염병 등급을 변화된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방안을 의료계와 함께 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사진=뉴스1
김부겸 국무총리가 "방역 당국에서는 일상적 의료체계에서도 코로나 대응이 가능하도록 현재 '1급'으로 지정된 감염병 등급을 변화된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방안을 의료계와 함께 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제 일반의료체계에서도 코로나 치료에 힘을 보태주셔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총리는 "이 요구는 경기도의사회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이미 제안이 왔고 우리 정부도 이 문제에 대해서 전문가들과 진지한 토론을 할 때가 되었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코로나19는 음압격리와 높은 수준의 격리를 필요로 하는 1급 감염병으로 분류돼 있다. 하지만 신규 확진자가 40만명대를 기록하고 동네병원 등에서 확진 및 치료가 이뤄지는 현 상황에 이같은 분류가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오미크론의 위험을 너무 가볍게 보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최근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받지 않거나 확진되어도 격리수칙을 잘 지키지 않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한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김 총리는 "나 자신과 가족의 건강, 공동체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또 더 빠른 일상회복을 위해서라도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주실 것을 다시 한번 강조드린다"며 "백신접종은 오미크론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행의 정점이 지난다고 하더라도 코로나가 곧바로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어쩌면 정점 이후에도 한동안 우리와 공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지속적인 백신접종이 여전히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2월 말부터 요양시설 입소자와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4차 접종을 시행 중이지만 아직 접종률은 10%도 되지 않는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는 미접종자의 접종률도 한 달 전에 비해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며 고위험군과 미접종자부터 백신접종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거리두기 조정과 관련해선 "이번 주말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종료된다"며 "정부의 일관된 거리두기 조정원칙은 '방역과 민생'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었다. 현재의 방역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각계의 의견을 들어 금요일 중대본에서 결정해서 발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