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총선에 이어 6·1지방선거를 앞두고 또 다시 전남 목포에서 당원명부 유출 사건이 발생해 선거판의 뇌관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목포지역위원회에 입당원서를 낸 수천명의 개인정보가 특정 목포시장 예비후보 선거캠프 관계자에게 건네졌다는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28일 더불어민주당과 지역정가에 따르면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 보좌관이던 A씨가 해당 캠프 인사 B씨에게 8000여 명의 개인정보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엑셀 파일로 정리된 명단에는 주민등록번호와 휴대전화번호, 집주소, 계좌 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그대로 기재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은 입당원서 유출 의혹이 제기된 전남 목포시를 전략선거구로 지정했다. 이번 당원명부 유출사고와 관련 지역내 반발도 거세다.

조요한 목포시장 예비후보는 지난 27일 "이는 명백한 개인정보보호법, 공직선거법 위반이며 공무상 비밀누설에 해당하는 행위로써 어느면에서 보더라도 자격심사 과정 자체를 인정할 수가 없다"며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될 불법 행위로 오염된 자격심사에 대해 원천무효"라고 철저한 조사를 요구했다.


민주당 목포시장 경선후보인 강성휘 전 전남도의원(54)도 같은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목포지역 경선 중단과 신속한 진상조사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목포지역위 관계자는 "이번 유출 의혹을 받고 있는 것은 당원명부가 아닌 입당원서 명단을 별도 정리한 서류"라며 "이 가운데 입당을 위한 전산 입력과정에서 개인정보 불일치로 입당이 안된 경우도 많다"고 해명했다.

김원이 의원도 입장문을 통해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 중앙당과 사법기관의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말을 아꼈다.

한편 지난 총선에서 특정 국회의원 예비 후보측의 권리당원 명부 유출과 관련, 당시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목포시 국회의원 예비후보는 "당원명부는 개인 신상정보가 기재 된 사생활 보호 대상이고 정치적으로 악용될 소지가 충분하기 때문에 반드시 보호돼야 한다"면서 "불법 유출은 정보에 관한 자기결정권 침해일 뿐만 아니라 당내 경선 신뢰를 무너트리는 중대 범죄 행위이자 명백한 해당행위"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