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위크 250호 <'빚덩이' 10년간 나눠 갚는다>는 은행 빚에 허덕이는 사람을 대상으로 은행이 프리워크아웃 제도를 시행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은행이 생활고 등으로 대출금을 연체를 할 경우 연체기간이 짧은 사람에 대해 연 10~14%대 이자로 최대 10년간 나눠 갚을 수 있도록 한 것. 누리꾼들은 포털 사이트를 통해 수백개의 댓글을 달며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한결 같이 투기를 하다 빚더미에 올랐으니 본인이 책임져야 한다는 비판이었다.
▶아파트 사면 패가망신한다고 수년 전부터 말했거늘~ 다 자업자득이다. 아파트 사면 확실히 패가망신한다.(달리미님)
▶투기 안하는 사람을 비웃을 때는 언제고 이제 와서 또 엄살을 떠느냐. 하루에 14시간씩 투잡 뛰면서라도 (빚)상환해라. 근데 그렇게 살기는 싫은 거지? (뱀파이어즈님)
앞으로 집값은 더 하락할 것이라며 투기(?)를 만류하는 글도 눈에 띄었다.
▶내 집 마련 하지마세요. 큰 평수의 부동산은 취득하는 순간 원금 손실이 발생합니다. 베이비부머의 은퇴 이후 이 속도는 더 가속화 될 것입니다.(윤헌님)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더라도 대출자들만 손해를 보는 구조에 대한 비판도 많았다. 또 프리워크아웃 제도가 겉으로는 고객을 위한 것처럼 보이지만 속내는 은행 이익이 우선시 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은행은 손해볼 게 없구나. 빚 못 갚으면 기간 늘려줄테니 성실히 갚으란 말이네. 대신 이자도 성실히…. 투기목적 주택구입자들은 세상 공짜 없으니 본인들이 알아서 해야 한다.(리더님)
▶프리워크아웃을 은행이 해준다고요? 채권 다 신용정보회사에 팔아넘기고 나 몰라라 하는데 이런 기사 보면 열 받아요. 은행만 좋은 쪽으로 미화시키는 이런 기사 ㅠㅠ (도보여행님)
▶집 가진 사람 은행 노예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가 가동되었군.(헝그리타이거님)
▶(프리워크아웃 제도는) 사실상 카드의 리볼빙 서비스와 비슷하다. 대출 만기를 연장하면서 이자를 챙기겠다는 것 아닌가. 빚을 받아본 사람들은 다 안다. 은행에서 챙겨준다는 것은 또 다른 돈벌이라는 것을. 그래도 어쩔 수 없이 은행에 고개 숙일 수밖에 없는 현실이 참(안타깝다).(길손님)
그렇다면 누리꾼들이 하우스푸어를 투기로 결론을 내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투자와 투기의 정의를 명쾌하게 정리한 베스트 댓글을 소개한다.
▶소유에 대한 개념을 확실히 해야 한다. 스마트폰도 약정이 끝나지 않으면 자기 소유가 아니다. 아파트도 부채를 갚지 않으면 자기 소유가 아니다. 특히 낡은 아파트는 40~50년차에는 자기 소유는 0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편하다. 분담금 폭탄을 맞아 독박쓰기 때문이다.(성황봉굿님)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25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