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부동산대책이 발표된 지 어느덧 두달이 지났다. 그사이 전국 주택거래량이 회복세를 보이고 주택가격 하락세가 진정되는 등 부동산대책 효과가 가시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춘래불사춘’을 외치던 업계 관계자들도 이제는 서서히 온기가 돌 때가 된 것 같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벌써부터 대책 발표로 인한 약이 수그러드는 것일까. 경기지표 변화를 가장 빠르게 반영한다는 경매시장의 열기가 서서히 시들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매시장 다시 ‘빨간불’

지지옥션에 따르면 4·1 대책 발표 시점을 기준으로 주간별 서울·수도권 아파트를 분석해 본 결과 한때 청신호가 들어왔던 경매시장에 다시 적신호가 켜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책 발표가 있었던 4월 첫째주에는 평균응찰자수가 3월 말 6.9명에서 7.2명으로 오르며 대책 효과가 바로 반영됐다. 그 후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하다가 상임위 통과일인 4월22일이 속해 있는 4월 넷째주 본격적인 반등을 하기 시작해 3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특히 4월 수도권 주거시설 평균응찰자수는 5.9명으로 2011년 2월 6.3명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4월과 비교해선 1.3명 늘었고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 연속 상승한 수치였다. 아파트에는 사람들이 더 몰렸다. 평균응찰자수 6.9명으로 2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했다.

하지만 열기도 잠시 5월 셋째주부터 7.2명에서 6.4명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낙찰가율 역시 4·1 대책 발표 후 꾸준한 오름세를 보이며 5월 둘째주 80%를 돌파하고 올해 최고점을 찍더니 최근에는 다시 70%대로 내려앉았다. 지난해 12월 72.5% 이후 4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던 기세가 한풀 꺾인 것이다.

실제 지난달 28일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 강변마을의 한 아파트는 3명이 응찰해 감정가 5억2천만원의 66.3%인 3억4499만원에 낙찰됐다. 앞선 4월23일 바로 옆 아파트가 18명이나 몰리면서 감정가 4억9천만원의 71.6%인 3억5088만원에 낙찰됐던 것과 사뭇 비교된다. 대책 효과가 있었던 때와 비교해 응찰자와 가격 모두 떨어졌다.

이러한 경매시장의 열기 하락세는 취득세 감면 혜택 종료와 관련된 것으로 파악된다. 경매절차상 낙찰 후 잔금납부까지 최소 15~16일이 소요된다. 이마저도 자금이 100% 다 준비가 됐을 때 해당되는 것이고 대출을 받아 자금을 마련해 잔금을 납부하기가 빠듯하기 때문에 지금 경매시장은 취득세 감면 혜택이 사실상 막바지에 해당된다.

강은 지지옥션 팀장은 “4·1 대책 발표로 침체된 부동산시장이 겨우 살아나 소생해 가고 있는데 충분히 탄력을 받기도 전에 시효가 끝나가는 감이 있다”며 “경매시장은 당분간 숨고르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