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심재철 새누리당 국회의원이 8일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으로 206명의 세종시 이주(이주예정 포함) 공무원이 특별공급제도를 통해 분양받은 세종시 아파트 분양권을 전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매가 가장 많이 이뤄진 아파트는 포스코건설이 1-5생활권 L1블록에 공급한 단지다. 이 아파트를 특별분양 받은 공무원 357명 중 43명(12%)이 분양권을 전매했다. 이 아파트는 지난 2011년 특별공급 당시 경쟁률이 6.84대 1로 현재까지 세종시에서 분양된 아파트 사상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바 있다. 현재는 최고 1억원 이상의 프리미엄까지 붙은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시에 이전기관 공무원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도입한 ‘분양아파트 특별공급 제도’는 이전하는 종사자에게 분양아파트의 70%에 해당하는 물량을 우선 분양하는 제도다. 하지만 전매를 통해 일부 투기수단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심재철 의원은 "분양 물량의 70%를 우선 특별공급하는 목적은 세종시 이주 공무원의 주거안정과 조기 정착을 돕기 위한 제도인데, 도입 취지와 다르게 일부 공무원이 이 제도를 투기나 재테크 수단으로 삼고 있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며 "특별분양 받는 공무원에 대해서는 전매제한 기간을 1년보다 길게 늘리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올해 9월말까지 세종시에서 아파트를 특별분양을 받은 공무원은 국책연구기관을 제외한 중앙부처 공무원 1만1665명 중 9천834명(74.8%)이다. 세종시로 내려가는 중앙부처 공무원 10명 중 7명은 이미 세종시에 아파트를 마련해, 올해 특별분양한 아파트 중 청약경쟁률이 30%를 넘는 곳이 단 1곳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김태원 의원(새누리당)은 전국 혁신도시에 조성된 아파트도 마찬가지라는 주장을 펼쳤다.
김 의원이 국토교통부에게 전수조사를 요청해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125개) 중 40곳 직원 580명이 직원대상으로 특별분양한 아파트를 전매제한 기간(1년)이 끝난 뒤 되판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분양 받은 직원 3940명 중 14.7%에 달하는 숫자다.
김 의원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꼴”이라며 “노른자위 땅에 싼값으로 아파트를 제공해 공공기관 직원들의 주머니를 채워준 셈”이라고 비난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