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마이 베이비’가 좋은 호응을 받을 수 있었던건 요즘 '꽃보다 할배'에서 시작된 예능 대세인 할배, 할매가 출연한 이유도 있겠지만,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아이들을 부모님께 맡길 수 밖에 없는 대한민국의 육아 현실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손주를 대신 돌봐주는 新육아풍습이 트랜드 아닌 트랜드가 되어버렸다. 그런데 아이들을 돌보는 일이 만만찮다 보니 허리나 무릎에 통증을 호소하는 노인들 또한 늘고 있다.
아이를 보살필 때 가장 많이 하는 행동은 아이를 안아주는 것이다. 아이를 안으면 이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몸이 자연스럽게 뒤로 젖혀지면서 무게가 고스란히 척추로 실리게 되는데 10kg내외의 아이를 안을 경우 서있을 때보다 약 4배의 압력이 허리에 가해지니 노인들의 척추가 감당하기에는 버거운 무게다.
그래서 아이를 돌보는 노인들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이 바로 척추관협착증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다리에 통증과 저림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노화가 주된 원인이지만 아이를 돌보면서 척추에 부담을 주는 것이 원인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아이를 보살필 때 가장 많이 하는 행동은 아이를 안아주는 것이다. 아이를 안으면 이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몸이 자연스럽게 뒤로 젖혀지면서 무게가 고스란히 척추로 실리게 되는데 10kg내외의 아이를 안을 경우 서있을 때보다 약 4배의 압력이 허리에 가해지니 노인들의 척추가 감당하기에는 버거운 무게다.
그래서 아이를 돌보는 노인들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이 바로 척추관협착증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신경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다리에 통증과 저림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노화가 주된 원인이지만 아이를 돌보면서 척추에 부담을 주는 것이 원인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구로예스병원의 김민수 원장은 “아이를 안을 때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하체힘을 이용해 안으면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아이를 안는 것보다는 업는 것이 허리에 부담을 덜 주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업는 편이 좋다.”고 말했다.
또한 아이와 놀아주는 동안에는 무릎을 많이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무릎을 자주 굽혔다 펴는 동작은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뼈와 인대에 염증을 유발해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무릎을 사용할 때 통증이 심하게 나타나며, 단순한 근육통이 아니기 때문에 파스나 찜질 등의 방법으로는 통증을 완화시키긴 어렵다.
김민수 원장은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일단 연골이 손상되면 복구가 힘들기 때문에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중요한 질환으로, 평소 무릎 스트레칭, 수영, 아쿠아로빅, 걷기 운동 등을 통해 근력을 강화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고, 아이를 돌보는 데 필요한 기저귀나 우유병, 과자, 장난감 등은 가까운 동선 안에 배치해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김민수 원장은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일단 연골이 손상되면 복구가 힘들기 때문에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중요한 질환으로, 평소 무릎 스트레칭, 수영, 아쿠아로빅, 걷기 운동 등을 통해 근력을 강화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고, 아이를 돌보는 데 필요한 기저귀나 우유병, 과자, 장난감 등은 가까운 동선 안에 배치해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