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발언은 14일 발매된 이달 21일 호에 실은 '한국의 급소를 찌른다'는 특집 기사에서 아베 총리 주변의 소식통을 인용한 것으로, 주간문춘은 또 박근혜 대통령이 일본과 대립각을 세우는 것은 곁에 '간신'이 있기 때문이라며 그 필두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라고 주장하는 외교 소식통의 발언도 함께 다뤘다.
주간문춘은 이어 일본이 비공식적으로 한국에 대한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고 아베 총리 측근을 인용해 전하며 ,새로운 차원의 "정한"(征韓, 한국 정복·침략) 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최근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일본 기업이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이 이어지는 것과 관련해 "일본 기업이 배상금을 강제적으로 징수당하면 대항조치는 금융 제재밖에 없다"는 한 금융 저널리스트씨의 견해를 소개했다.
그는 "한국에는 대형 은행이라고 부를 수 있는 곳이 한 곳도 없고 가장 큰 우리은행이 미쓰비시도쿄UFJ은행의 10분의 1 이하 규모"라고 말했고, 주간문춘은 이를 근거로 일본의 금융기관이 한국에 기업이나 경제에 대한 지원·협력을 끊으면 삼성도 하루 만에 무너질 수 있다는 주장을 내놨다.
우선 최근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일본 기업이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이 이어지는 것과 관련해 "일본 기업이 배상금을 강제적으로 징수당하면 대항조치는 금융 제재밖에 없다"는 한 금융 저널리스트씨의 견해를 소개했다.
그는 "한국에는 대형 은행이라고 부를 수 있는 곳이 한 곳도 없고 가장 큰 우리은행이 미쓰비시도쿄UFJ은행의 10분의 1 이하 규모"라고 말했고, 주간문춘은 이를 근거로 일본의 금융기관이 한국에 기업이나 경제에 대한 지원·협력을 끊으면 삼성도 하루 만에 무너질 수 있다는 주장을 내놨다.
한편 아베 총리는 그러나 이날 일본을 방문한 한국 국회의원과 만나서는 한일 관계의 정상화를 위해 연내에 정상회담을 원한다고 발언했다.
주간문춘이 전한 아베 총리의 발언과 배치되는 행동인 것.
한편, 이 잡지는 그동안에도 반한(反韓) 또는 혐한(嫌韓)의 내용을 많이 다뤄온 보수지다.
지난 8월에도 '귀찮은 이웃을 닥치게 만드는 방법'이라는 특집으로 '한국에 몇배로 갚아주자'는 주제로 반한의 내용을 다룬바 있다.
이에 누리꾼들의 댓글에는 아베 총리의 발언에 대한 분노와 함께 판매부수를 늘리기 위한 잡지의 기획에 지나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는 반응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자극적인 내용을 많이 다뤄서일까. 일본잡지협회에 등록된 주간문춘의 발행부수는 701,200부로 일반 주간지 분야에서 선두다.
일본잡지협회 캡쳐(구글번역기 사용)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